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40

청각장애의 진단평가와 사정, 교육적 지원과 중재 1. 청각장애의 진단평가와 사정 1) 조기발견 ㅇ 청력손실은 일찍 발견할수록 언어와 의사소통기술을 발달시킬 기회와 효과성이 큼 → 영유아의 청력 손실이 의심되는 징후가 보이면 정밀검사를 받아야 함 ㅇ 영유아의 청력 손실의 징후 영역 징후 말하기 • 다른 가족들이 말을 이해하기 어려움 • 말과 문법 상의 지체나 미숙함을 보임 • 상황에 비해 말소리가 너무 크거나 작음 언어 • 지시를 잘못 이해하거나 부적절한 대답을 함 • 질문을 반복해서 하거나 대답을 머뭇거림 • 듣기에 곤란을 보임 주의집중 • 말하는 사람의 얼굴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임 • 주의집중 시간이 짧고 산만함 • 듣기를 필요로 하는 활동에 무관심함 긴장 • 감기, 호흡기 감염, 중이염을 자주 앓음 • 숨을 입으로 쉼 • 균형 감각이 떨어지고 행동.. 2023. 5. 22.
청각장애 정의와 분류, 원인과 출현율, 특성 1. 청각장애의 정의와 분류 1) 정의 ㅇ 장애인복지법의 청각장애 •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60dB 이상인 사람 • 한 귀의 청력 손실이 80dB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dB 이상인 사람 •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 이하인 사람 • 평형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ㅇ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청각장애 • 청력 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해도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 또는 곤란한 상태이거나, 청력이 남아 있어도 보청기를 착용해야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청각에 의한 교육적 성취가 어려운 사람 2) 분류 ㅇ 청력손실의 정도에 따른 분류 • 청력 손실 정도에 따라 청각장애아를 농과 난청으로 구분함 - 대개 90dB를 기준으로 그 이상을 농, 그 이하.. 2023. 5. 22.
언어치료접근법 치료사중심접근법 아동중심 접근법 절충법 1. 언어치료 접근법 1) 언어치료 접근법의 전반적인 고찰 (1) 치료목표의 선정 ① 치료 목표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발달단계에 근거한 접근법/기능적인 접근법) ⦁ 발달단계에 근거한 접근법(bottom-up approach) - 언어능력의 결함을 또래 아동의 언어능력 수준으로 높이는 것이 목적 - 또래아동들의 언어발달 순서 기초, 결함보이는 단계들을 차례대로 훈련 - 약간의 발달지체가 나타나는 아동들에게 사용 ⦁ 기능적인 접근법(top-down approach) - 아동 생활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언어 및 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침 - 장애의 정도가 심하거나 일탈의 정도가 심한 아동 ⦁ 두 접근법을 절충하여 - 언어목표는 아동이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설정함 - 훈련활동이나 발화의.. 2023. 5. 21.
화용론적 분석의 근거 언어기능의 다양성 분석 1. 화용론적 분석의 근거 1) 화용론적 연구 배경 ① 언어이전기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위 - 구어산출 선수 기술, 발성과 몸짓 사용 ② 구어적 의사소통 행위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 - 인지적인 능력 ⦁ 어떤 목적을 가지려고 청자에게 영향을 끼치려는 의도성 ⦁ 청자가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의도의 조절 능력 ⦁ 서로 다른 의사소통 의도들을 조절하는 능력 ⦁ 자신의 의도를 관습적으로 효과적으로 공손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 ③ 연령에 따른 의사소통 의도 ㅇ 한 낱말 시기의 의사소통 의도 유형 ▶ Dore(1974) - 유형(9) - 기능: 명명, 반복, 대답, 행동요구, 대답요구, 부르기, 인사, 저항, 연습 ▶ Coggins와 Carpenter(1981) ⦁ 한 낱말보다 좀 더 높은 유형.. 2023. 5.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