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140 장애영유아 실외활동 귀가 행사 시 장애유형에 따른 고려사항 1. 실외활동 1) 일반적인 특성 - 영유아는 교실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놀이하면서 대근육 발달을 이루고,실내에서 표출하기 어려웠던 욕구를 맘껏 표출하면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1) 실외 활동 시 장애영유아가 갖게 되는 어려움 ① 자신의 물건을 스스로 챙기지 못한다 ② 넓은 공간에서 이탈하려는 욕구가 크다 ③ 운동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놀이 기구 사용에서 제한되는 점이 많다. ④ 또래의 활발하고 급진적인 놀이 형태에 참여하지 못한다. 2) 지도 내용 및 방법 - 실외 놀이 시설을 이용하거나 여러 가지 놀이 기구를 이용하는 것은 대근육 발달 기회를 제공한다. - 실외 환경에서 어떻게 놀이하는지 배울 수 있다. - 실외 놀이는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제공한다. - 미끄럼틀 차례.. 2023. 5. 18. 장애영유아 식사시간 특성 지도내용 및 방법 장애유형별 고려사항 1. 장애영유아 식사시간 일반적인 특성 1) 장애영유아에게 식사 지도가 필요한 이유 (1) 생존을 위한 독립적인 기술 - 음식을 먹는 것은 부모의 도움 없이 혼자 살아가기 위한 일차적인 생존 기술이다. - 대부분의 영유아들은 관찰과 모방으로 이러한 기술을 습득하지만 장애영유아들은 자발적인 습득에 어려움을 보인다. (2) 음식 섭취의 부적절한 태도 개선 - 음식 섭취에 있어서 음식 거부와 편식, 스스로 안 먹기, 너무 빠르거나 늦게 먹는 부적절한 속도, 식기 던지기와 구토 등의 여러 가지 문제행동들을 나타난다. (3) 또래 관계의 어려움 - 음식을 거부하는 모습을 통해서 ‘고집스러운 아이’라는 생각을 하거나,음식을 흘리거나 토하는 모습을 보게 되면 또래들이 반감을 갖게 되어 접근을 피하므로 또래 관계에서 .. 2023. 5. 18.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평가와 사정 영유아를 위한 교육적 지원과 중재 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평가와 사정 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 ㅇ 의료적 검사는 없음 ㅇ DSM-5의 진단준거에 의존함 ㅇ 생후 18개월이면 진단이 가능함 ㅇ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조기 판별이 중요함 ㅇ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조기 발견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나요? ㅁ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영유아들의 독특한 발달양상이나 발달지연 ⇒ 전문가들의 조언을 구할 필요가 있음 - 보통 5개월 경 시작하는 옹알이가 12개월까지 나타나지 않음 - 6개월 정도까지 활짝 미소를 짓거나 즐거워하는 표현이 나타나지 않음 - 6~9개월에 시작하는 다른 사람들과의 눈맞춤이 서툴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음 - 9개월까지 까꿍 놀이나 성인의 반복되는 소리에 반응하지 않음 - 10개월 경 아이의 이름을 불렀을 때 돌아보거나 소리로 반응하.. 2023. 5. 18.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이해(정의 분류 원인 출현율 특성) 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와 분류 1) 정의 ㅇ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정의 -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을 보임으로써 교육적 성취 및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 ㅇ DSM-5의 3가지 진단기준 ① 다양한 맥락에 걸친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교류의 지속적인 장애 - 사회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받는 상호 교환성의 결핍 -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비언어적 및 언어적 의사소통의 현저한 장애 - 발달수준에 적절한 친구 관계 형성의 실패 ② 제한적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이나 관심, 활동이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가지 항목으로 표현 - 상동화되고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언어 - 의식에 지나치게 매달리거나 특이하고 비효.. 2023. 5. 18.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