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용론적 분석의 근거
1) 화용론적 연구 배경
① 언어이전기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위 - 구어산출 선수 기술, 발성과 몸짓 사용
② 구어적 의사소통 행위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 - 인지적인 능력
⦁ 어떤 목적을 가지려고 청자에게 영향을 끼치려는 의도성
⦁ 청자가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의도의 조절 능력
⦁ 서로 다른 의사소통 의도들을 조절하는 능력
⦁ 자신의 의도를 관습적으로 효과적으로 공손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
③ 연령에 따른 의사소통 의도
ㅇ 한 낱말 시기의 의사소통 의도 유형
▶ Dore(1974) - 유형(9)
- 기능: 명명, 반복, 대답, 행동요구, 대답요구, 부르기, 인사, 저항, 연습
▶ Coggins와 Carpenter(1981)
⦁ 한 낱말보다 좀 더 높은 유형- 38개, 37개, 16개 등
⦁ 연령이 증가할수록 의사소통 의도의 종류와 범위↑, 몸짓, 발성→ 구어
⦁ 대답/반응, 반복, 이름대기, 저항/거부, 부르기, 사물/행위/정보요구 일찍 명료화 요구, 묘사, 예상,
지시, 감정 표현, 가정, 추론하기 늦게 발달
④ 화용발달은 문법 및 의미 영역, 인지 및 사회적 능력 발달과 관계
2. 화용론적 분석
1) 문장의 자율성 분석
① 자발적 문장: 자발적 시도 발화, 질문에 대한 반응
② 모방: 즉각, 지연, 부분 모방
2) 언어 기능의 다양성 분석
(1) 초기 구어 기능 분석 - 의사소통 의도가 제한적인 아동
명명 | 사물의 이름을 댄다. (예: 자동차를 가리키며 “자동차”) |
반복 | 상대방 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한다 예: 어른이 ‘빨간 모자’라고 했을 때 “모자”라고 한다) |
대답 | 상대방의 질문에 대답한다. (예: 어른이 ‘몇 살이야?’ 했을 때 “세 살”하고 대답한다) |
행동요구 |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취하도록 한다. (예: “과자 주세요”) |
대답요구 | 상대방의 대답을 유도한다. (예: 공을 들어 올리며 “공?”한다) |
부르기 |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한 말이나 음운 패턴 (예: 장난감을 가리키며 “엄마”하고 부름으로써 엄마가 다가오게 한다) |
인사 | 상대방에게 자신의 도착이나 출발을 알린다. (예: “안녕”, “빠이빠이”) |
저항 | 어떤 것을 싫어하거나 불허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 고개를 저으며 “싫어”, “안돼”) |
연습 | 앞의 문장과 연결되지 않은 말을 독백처럼 한다. (예: 어른이 “아이 춥다, 그지?” 했을 때 “아가, 아가”하며 중얼거린다. 아빠가 없는데도 “아빠, 아빠” 하며 중얼거린다) |
(2) 대화 기능 - 다양한 의사소통 의도를 보이는 아동
⦁ 분석 방법
①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행동
- 신체적 근접, 몸짓, 발성, 말로 접근, 엄마의 의도 후 3초 이내
② 7개 상위범주 분류, 하위 범주 분류
③ 몸짓, 발성과 말 구분
④ 상투적 부르기는 10%만 분석
⑤ 동일대상 or 행위 연속하여 반복 → 한 번만 기록
▶ 의사소통 의도 분석 유형(요구, 반응,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대화내용 수신 표현, 대화내용 구성요소, 발전된 표현)
요구 | 정보요구 | ⦁다음과 같이 여러 형태의 질문을 포함함 - “예/아니오” 질문: 상대로부터 ‘예/아니오’ 반응을 요구하는 질문 (예- 아동: “사탕이야?” 엄마: “응”) - 의문사 질문: 의문사를 이용한 질문 (예- 아동: “이거 뭐야?”) - 명료화 질문: 상대가 이전 발화에 대해 명료화 요구하는 질문 (예- 엄마: “가자”, 아동: “뭐라고?”) - 확인 질문: 아동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는 질문 (예– 아동: (질문의 억양으로 공을 보며) “공이지?”) |
행위요구 | ⦁상대에게 어떤 행위 하도록 요구하는 행동 (예– 아동: (자동차를 밀어달라는 의미로) “가”) |
|
사물요구 | ⦁상대에게 사물 달라고 요구하는 행동 (예– 아동: (달라는 시늉을 하며) 풍선 가리키기) |
|
허락요구 | ⦁상대에게 허락 요구하는 행동 (예– 아동: (엄마가 물을 틀지 말라고 한 후, 수도꼭지를 돌리려고 하면서 엄마를 쳐다보고) “물?”) |
반응 | 질문에 대한 반응 | - 예/수용: 상대의 질문에 긍정적인 대답을 하는 경우로, 단 의미 없는 대답은 제외함 (예– 엄마: “먹을래?”, 아동: “응”) - 아니요/저항/부정: 상대의 질문에 부정적인 대답을 하는 경우로 단, 의미 없는 대답은 제외함 (예– 엄마: “먹을래?”, 아동: ”아니”) |
요구에 대한 반응 | - 명료화: 상대의 명료화 요구 후에 이전발화를 반복하거나 명료하게 하려는 시도 (예– 아동 “달기”, 엄마: “딸기?”, 아동: “딸기”) - 순응: 상대의 요구에 긍정적으로 응하는 행동 (예 – 엄마: “뽀뽀”, 아동: 뽀뽀하는 행동) - 거부/저항: 상대 요구 거부하거나 저항하는 행동 (예– 엄마: “뽀뽀”, 아동: “안 해”) |
|
반복 | ⦁상대의 선행 의사소통행동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새로운 추가없이 모방하는 행동 (예– 엄마: “뭐 줄까?, 아동: “뭐 줄까?”) |
|
의례적 반응 | ⦁선행 발화에 부합되지 않는 단순한 의례적 반응 (예– 엄마: “너 그걸로 뭐 만들건데?”, 아동:”응”) |
객관적 언급 |
사물에 주의 끌기 | ⦁단순히 사물에 주의를 집중토록 하는 수준의 행동 (예– 아동: 장난감 전화기를 보고 엄마를 쳐다보며 전화기를 가르키기) |
이름대기 | ⦁아동이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장소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사물 또는 사건을 명명하는 기능 (예– 아동: (강아지 인형을 보며)”멍멍”) |
|
사건·상태 | ⦁행위/사물 움직임이나 상태에 상대의 주의를 끄는 행동 (예– 아동: (자동차를 밀어 움직이도록 한 후) ”저것 봐”) |
|
고유특성 | ⦁아동이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장소에 있는 대상에 대해, 그 대상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외형적 특성 (예– 아동: (공을 보며)”동그라네”) |
|
기능 | ⦁사물 기능 나타내는 행동이나 언급 (예– 아동: (축구공 보며) “뻥 차는 거야”) | |
위치 | ⦁공간적 관계 대한 행동이나 언급 (예– 아동: (장난감 가리키며) “저기 있다” ) | |
시간 | ⦁시간적 관계 대한 행동이나 언급 (예– 아동: “잠깐만”, “이따 봐”, “그 다음에"_ |
주관적 진술 |
규칙 | ⦁규칙에 대한 행동이나 진술 (예- 아동: “(~하면) 안돼”) |
평가 | ⦁상대 또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 (예– 아동: “잘했어”) | |
내적상태 | ⦁자신의 생각 또는 느낌 표현 (예– 아동: “그거 좋아” “맛있다”) | |
속성 | ⦁객관적 판단의 기준 없는 상대적 특성 대해 자신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사물 특성을 기술하는 기능 (예– 아동: “와, 크다” “많다” “뜨겁다”) |
|
주장 | ⦁자신 의견 또는 주장 표현하거나 청유하는 기능 (예– 아동: “내 거야” “먹자” “아빠”) | |
설명 | ⦁현재 장소에 없거나, 현재에 존재하지 않는 사물 또는 상황/사건 대한 설명이나 의견 또는 이유 설명하는 기능 (예– 아동: “이건 공이야”(뭔가를 그리고 나서), “넘어져서 아야 해”) |
대화내용 수신 표현 |
수용 | ⦁상대의 앞선 의사소통행동 대해 단순히 메시지 받았다는 것을 표현하는 행동 (예– 단순한 의례적 인사나 이름에 대한 반응) |
승인/동의 | ⦁상대의 앞선 의사소통행동 대해 새로운 정보 추가 없이 단순히 승인/ 동의 표현하는 행동 (예– 엄마: “물 없어”, 아동: “없네”, “응 알아”) |
|
부인/반대 | ⦁상대의 앞선 의사소통행동 대해 새로운 정보의 추가 없이 단순히 부정/반대 표현하는 행동 (예– 엄마: “물 없어”, 아동: “물 있어”, “아니야”) |
대화내용 구성요소 |
의례적 인사 | ⦁상대 반응을 기대하지 않은 의례적인 인사 (예– 아동: “안녕”) |
부르기 | ⦁다른 의사소통의도와 연결되지 않은 단순한 부르기 (예– 아동: “엄마”) | |
화자선택 | ⦁반응할 상대를 선택하는 행동 (예– 아동: “엄마가 말해” ) | |
동반 | ⦁행동의 한 부분으로 수반되는 말 (예– 아동: (물건을 주며) “여기”) | |
감탄 | ⦁자신 또는 상대의 행동이나 사물 대한 감탄 또는 놀람 표현하는 행동 (예– 아동: (엄마가 만든 블록모형 보고) “우와”) |
발전된 표현 | 농담 | ⦁ 남을 웃기려고 우스갯소리로 하는 말 (예– 아동: “나 아들 아니고 딸이지”(아들인지 알면서 장난치려고) |
경고 | ⦁ 문제 지적, 위험 알리거나 또는 조심토록 주의 주는 말 (예– 아동: “조심해” “위험해”) | |
놀림 | ⦁ 남의 흉 보거나 놀리는 말 (예– 아동: “메롱” “바보”) |
3) 의사소통의도 습득에 관한 종단연구
- 몸짓, 몸짓+발성 → 말, 몸짓+말
- 발화에 대한 수동적 반응 → 능동적인 상호작용 참여자
⦁ 연령이 증가할수록 반응↓, 요구,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 23개월 반응, 요구50~60% → 24개월 45%, 언급↑→ 점차 진술 꾸준히↑
(3) 하위 기능별 산출 양상
① 의문사 질문
- 연령 증가할수록 산출빈도↑, 의문사 다양
② 허락요구하기, 명료화 기능
- 19개월을 전후 출현하고 점차 발달
③ 객관적 언급
④ 주관적 진술: 산출 빈도가 많지 않음
- 연령↑⇒ 다양한 하위범주 기능들 나타남
- 연령↑⇒ 산출형태가 다양, 표현이 좀 더 구체화 됨
- 진술의 모든 기능은 24개월 전후 모두 습득
⑤ 대화내용 수신 표현
- 수용 및 승인의 기능 → 19개월부터
⑥ 대화내용 구성요소
- 화자 선택: 나타나지X ← 아동과 엄마 대화 샘플 or 기능 발달X
- 감탄: 21개월 감탄사 사용하는 감탄 기능 활발
Q. 화용론이란 ?
- 현실적으로 주어진 언어 자체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있게 하는 언어의 주변을 설명하는데 주력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
Q. 언어의 초기 구어 기능 분석 중 다음은 어떠한 것에 대한 설명인가? [앞의 문장과 연결되지 않은 말을 독백처럼 한다]
- 연습
Q. 언어의 초기 구어 기능 분석 중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취하도록 하는 것은?
- 행동요구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각장애 정의와 분류, 원인과 출현율, 특성 (0) | 2023.05.22 |
---|---|
언어치료접근법 치료사중심접근법 아동중심 접근법 절충법 (0) | 2023.05.21 |
발달영역별 교육적 접근과 활동수정방법 및 교수전략 (1) | 2023.05.20 |
활동중심 활동참여 교수전략 의사소통을 위한 상호작용 전략 (1) | 2023.05.20 |
지적장애 영유아기 특수교육방법 및 학습환경설계 (1) | 202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