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40

중등도 및 중도 지적장애 학생과 경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적 수정 [정신지체아교육] 1. 중등도 및 중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적 수정 ㅇ 지적장애 학생은 장애 정도와 수준에 따라 적용하는 교육과정의 성격과 방법이 다른 수 있음 ㅇ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최대한 독립적이고 만족스러운 삶의 질을 누리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생활기능중심의 교육이 필요함 1)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ㅇ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중심으로 가르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교육과정 ㅇ 연령에 관계없이 기본 기술 익히기, 이동하기, 의사소통하기, 화장실 가기, 섭식 등을 가르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제안되며 이러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특별한 교수방법을 필요로 함 (1) 지적장애 학생의 기능적 교육과정 내용 구성 ㅇ 현재 필요한 것이면서 미래의 가정과 직업, 지역사회, 여가활동.. 2023. 6. 4.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접근 및 구성 및 운영을 위한 기본 전제 [정신지체아교육] 1.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접근 ⦁ 교육과정 : 교육에 있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해당 ⦁ 지적장애 학생을 위해 특수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교육과정의 틀 5가지 - 기초기술 지도방법, 발달론적 방법, 학습전략 방법, 기능적 방법, 직업교육 방법 ⦁ 다른 분류로는, - 발달론적 교육과정 : 발달단계에 따라 선행기술 및 위계에 따른 기술 지도를 강조 - 기능적 교육과정 :현재 및 미래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고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적 기술을 지도 - 일반교육 기준중심교육과정 : 비장애학생과 동일한 학년 수준의 기준중심교육과정을 적용 1) 발달론적 접근 (1) 발달론적 접근의 특징 ㅇ 1980년대 이전 지적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육.. 2023. 6. 3.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평가 및 중재방안 [정서장애아교육] 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 평가 1) 개정판 자폐증 진단 면담지(ADI-R) ‣ Rutter 등이 2003년에 개발한 도구로 유희정(2006)이 한국어로 번역한 면담지 ‣ 자폐증과 전반적 발달장애를 판별하기 위한 진단도구로 반구조화된 부모 면담 도구 ‣ 언어 및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상동행동 영역에서 93개 문항으로 구성 ‣ 대략 90분 정도 소요되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를 판별하는 데 제한이 있고, 18개월 미만의 자폐가 아닌 발달지체 유아들이 포함되기도 한다. 2)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줄(ADOS) ‣ Lord 등이 1999년에 개발한 도구로 유희정과 곽영숙(2006)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도구로 현재 ADOS-2가 나와 있음. ‣ 구어 발달이 이루어진 아동뿐 아니라 .. 2023. 6. 3.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 원인 및 출현율, 특성 1. 자폐스펙트럼장애 정의 1) 정의 ‣1911년 스위스 정신과의사인 Eugene Bluer는 그리스어 autos(의미: self)에서 autism 용어 사용 ‣ Johns Hopkins 대학의 소아정신과 의사 Leo Kanner는 1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1943년 의 연구 “감정적 접촉의 자폐적 장애(autistic disturbance of affective contact)"에서 자폐증 (autism) 용어를 처음으로 정의 ‣ Kanner는 아동기 정신분열증과 구별되는 아동들의 공통된 특성을 발견하고 초기유아자폐증 (early infantile autism)이라 정의 ‣ 주요증상: 사회적 고립, 동일성의 고집, 비정상적인 언어 ‣ 1944년 Hans Asperger는 초기 언어 및 인지 발달의 .. 2023. 6.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