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계획의 중요성
•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는 효과적인 교수 프로그램이 전달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다.
• 교사들은 환경이 유아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해야 하며,발달과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 학습 환경을 어떻게 구성하고 조작해야 하는지를 잘 알아야 한다.
• 장애 유아의 새로운 기술 학습과 일반화,또는 문제행동의 예방이나 감소를 위해서 가장 우선적으로 환경을 조절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 그러므로 장애 영유아를 교육하는 교사들은 영유아들이 지니고 있는 장애 특성에 따라서 또는 학습 영역이나 교수목표에 따라서 적절한 학습 환경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2. 학습 환경 계획 시 고려할 내용
1) 안전한 환경
• 안전에 대해 신경을 쓰고 안전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예방적 차원에서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 안전한 환경은 사고의 위험을 줄일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안정감을 제공한다.
• 환경 내에서 유아들이 안정감을 느끼게 되면 환경의 탐구나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더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 대부분의 장애 유아들은 전형적인 발달을 보이는 또래들에 비해서 사고나 손상의 위험을 더 많이 지니고 있다.
• 그러므로 이들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때론 부모나 교사들은 완벽하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하곤 한다.
• 그러나 위험 요소가 전혀 없는 환경은 장애 영유아들의 새로운 경험을 제한하는 빈약한 환경일 수 있다.
• 그러므로 안전한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위협적인 요소들과 건설적인 위험 요소들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유아가 극복할 수 있는 일상적인 장애물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이를 해결하는 경험을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표14-1>은 장애 유아가 통합된 어린이집 환경이 안전한 환경이 되기 위하여 건축학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요소들을 보여주고 있다.
2) 접근 가능한 환경
∙ 모든 영유아들은 자신의 환경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환경에 접근 가능성은 영유아의 독립성과 자신감을 촉진하며, 적극적인 탐구 활동을 조장한다.
∙ 환경상의 특성으로 인해서 장애 영유아들이 활동에 참여하지 못한다면 좌절을 경험함과 동시에 학습의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 그러므로 교사들은 장애 영유아들의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들이 환경의 모든 측면에 접근할 수 있는지를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 환경은 실내 환경과 실외 환경을 모두 포함한다.
∙ 실내 환경의 경우 유아들이 환경 내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니고 교실 내의 모든 학습자료, 공간, 활동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교실 내에 바닥의 높이를 달리하는 공간이 있다면 지체장애 유아나 휠체어를 타는 유아가 접근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한다.
∙ 실외 환경을 구성할 때에도 이에 대한 배려를 기울여야 한다.
∙ 예를 들어서,바닥에자갈이 깔려 있는 경우에는 자갈 대신 목재로 마감을 하는 등의 배려가 필요하다.
∙ 또한 실외 놀이터 역시 장애 유아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그네에 벨트를 달거나 의자 모양의 그네를 설치함으로써 장애 영유아들이 그네를 타게 할 수 있으며, 경사진 바닥에 미끄럼틀을 설치함으로써 장애 영유아들이 쉽게 접근하고 계단으로 인한 위험 요인을 줄일 수 있다.
∙ 장애가 심한 유아들이나 자세잡기 및 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운 유아들의 경우 독립적인 이동과 활동 참여를 위해서 특별한 적응 보조도구들을 필요로 한다.
∙ 이러한 도구들은 앉기나 서기 자세를 보조함으로써 독립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균형을 유지하게 한다.
∙ 결과적으로 활동 참여를 촉진하게 되는데,타올을 말아서 쓰거나 스티로폼 등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제작할 수도 있고 값비싼 전문적인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3) 충분한 공간
∙ 영유아들의 학습 환경을 설계할 때 영유아들의 수에 따른 학급의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 특히 장애를 지닌 영유아들의 경우에는 공간 설계에 좀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이것은 휠체어나 스탠더와 같은 다양한 보조 도구나 적응 도구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 또한 장애 영유아들을 위한 교육 현장에서는 치료사나 특수교육 실무사 등의 성인 인력이 더 많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공간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 특히 행동 문제를 지닌 유아들이나 주의력 결핍 장애나 자폐를 지니고 있는 유아들의 경우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문제행동을 줄이고 주의집중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 일반적으로 공간이 너무 협소하거나 한 공간 안에 너무 많은 유아들이 있어서 복잡한 환경이 구성되면 이들의 스트레스나 공격적인 행동이 증가할 수 있으며,반면에 공간이 너무 넓으면 상호작용이 감소할 수 있다.
4) 반응적인 환경
∙ 반응적인 환경은 영유아가 환경과 상호작용 할 때 가능하면서도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준다.
∙ 환경의 반응성은 영유아들의 학업적 성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즉각적이고 일관성 있는 반응을 제공하는 환경은 유아들로 하여금 자신이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안정감을 지니게 해 준다.
∙ 이러한 환경은 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환경과 상호작용하게 만드는 매우 강력한 동기를 제공해 준다.
∙ 영유아들이 자신의 환경을 조절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면 학습된 무력감이 나타날 수 있다.
∙ 그러므로 환경을 설계할 때에는 장애를 지닌 영유아들이 자신의 환경을 성공적으로 조절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의 반응성을 고려해야 한다.
∙ 교사들은 즉각적이고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해주는 교재를 선정하거나 특정 활동을 계획함으로써 환경의 반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 반응적인 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교재의 반응하는 부분이 잘 작동하는지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5) 참여를 촉진하는 환경
∙ 장애 영유아 교육에 있어서 참여를 촉진하는 환경은 매우 중요한데,이것은 참여도가 높으면 학습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행동문제를 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유혹적이고 매력적인 환경은 유아들로 하여금 과제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제공한다.
① 유아들에게 매력적인 교재를 제공한다.
∙ 일반적으로 교재는 색깔, 크기, 소리 등의 특성을 통해서 참여를 촉진한다.
∙ 유아들은 어두운 색보다는 밝은 색을 선호하며 평면적인 교재보다는 입체적인 교재를 선호한다.
∙ 또한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교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 일반적으로 교재는 유아의 발달수준이나 흥미와 일치할 때 더 높은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② 참여를 의무가 아닌 특권으로 만든다.
∙ 활동이 반드시 해야 하는 개념이 될 때 유아의 관심은 줄어들 수 있다.
∙ 그러나 스스로 관심 있는 활동을 선정하게 하거나 적절한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좋아하는 활동을 사용하는 방법은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③ 활동 내에서 역할을 맡게 한다.
∙ 활동에 참여하지 않거나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유아들에게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 예를 들어서, 이야기 듣기 시간에 주의집중을 하지 않는 장애 유아에게 막대 인형이나 동물 인형 등을 들고 이야기 중의 인물을 연기하게 함으로써 이야기 듣기 활동에 더 잘 참여하게 할 수 있다.
④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
∙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유아들 중에는 참여를 시작하게 하는 특정 언어적 또는 신체적 촉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 예를 들어서, 읽기 영역의 구석에 앉아서 다른 친구나 책을 보는 것을 물끄러미 바라만 보고 있는 유아에게 교사가 “진실아,수연이가 보는 동물책 봤니?너도 한 번 동물책을 찾아보겠니?”라고 말함으로써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⑤ 유아의 교재 선호도를 조사한다.
∙ 유아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교재나 활동을 원한다.
∙ 좋아하는 활동에는 오랜 시간동안 참여하지만 그렇지 않은 활동은 쉽게 지루해하고 중단하게 된다.
∙ 그러므로 교사들은 관찰을 통해서, 또는 부모와의 면담을 통해서 유아가 선호하는 교재나 활동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3. 장애영유아 유형별 환경 계획 시 고려할 점
1) 지체(뇌병변) 장애 영유아를 위한 고려
∙ 몸의 자세가 불안정하고 지탱을 잘 못하는 영유아가 의지할 수 있는 견고하고 안정된 가구가 필요하다.
∙ 튼튼한 선반이나 가구에 기대어 몸의 균형을 잡도록 도와줄 수 있다.
∙ 맞춤형 의자를 사용하거나 의자 사이에 수건을 말아 끼워 중심을 잡고 앉을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
2) 기어 다니는 영유아를 위한 고려
∙ 날카로운 모서리들은 고무나 스펀지로 감싼다.
∙ 기어 다니는 영유아가 있는 경우,머리
위치에서 부딪힐 만한 곳에는 안전 보호대를 반드시 설치한다.
3) 막 걷기 시작한 장애 영유아를 위한 고려
∙ 실외놀이 영역들 중 일부에 고무매트가 필요하다.
∙ 실외놀이 영역에 아직 익숙하지 않거나 작은 방해물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혹시 모를 넘어짐에 대비해야 한다.
∙ 예를 들어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는 난간 설치하거나 워커(보조기)를 사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 저시력 영유아를 위해서는 주요 통행로의 장애물,커브,계단,경사로 등 대비가 명확한 바닥 표시나 장애물 표시를 한다.
4. 활동 시간표 계획
∙ 활동 시간표란 활동의 순서와 각 활동에 배정된 적절한 시간을 의미한다.
∙ 장애 영유아를 위한 학습 환경은 일과의 구성에 따라 그 효율성이 달라진다.
∙ 교사들은 학급내의 모든 영유아들이 어어 영역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하며 그러한 활동을 통해서 이들이 무엇을 학습하고 있는지 또한 알아야 한다.
∙ 이를 위해서는 활동 시간을 미리 계획해서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또한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활동 간 이동 역시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진행과 학습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 활동 시간표 계획의 일반적인 지침
① 활동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하여 유아들의 개인 간 차이를 반영해야 한다.
∙ 교사는 활동의 순서를 정할 때 하루 전체 일과를 고려함과 동시에 활동의 장소나 학습 기회 등의 요소들이 개별 장애 영유아의 필요와 잘 맞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 또한 활동 순서나 길이는 계절에 따라서도 변할 수 있다.
∙ 특히 바깥 놀이의 경우에는 계절에 따라 그 시간의 길이도 달라져야 할 뿐만 아니라 하루 중 시간 배정도 달라져야 한다.
② 활동 시간표를 계획할 때 교사는 활동의 수준을 다양하게 고려해야 한다.
∙ 예를 들어서, 신체적인 움직임이 많이 필요한 활동과 조용한 활동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 주의집중이 필요한 학습 경험을 기대하는 시간은 바깥놀이 등의 움직임이 많은 활동 다음에 배정되어서는 안 된다.
③ 활동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 대부분의 유아들은 익숙한 환경에서 편안함을 느끼지 때문에 예고 없이 활동의 순서를 바꾸는 것은 좋지 않다.
∙ 특히 장애를 지닌 영유아들의 경우에는 일과의 변화가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 자폐적인 성향이나 주의력 결핍 장애를 지닌 영유아들은 일과의 순서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집착이 방해를 받을 때에는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 그러므로 장애 영유아를 포함한 모든 영유아들이 다음에 발생할 사건이나 활동이 무엇인지를 알게 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활동 시간표 계획
∙ 활동 시간표는 프로그램의 유형이나 교사의 수, 영유아의 수와 장애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 반일반과 종일반의 시간표가 다르며, 오전의 이른 시간과 오후의 시간에 하는 활동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간 배정 또한 달라진다.
∙ 그렇기 때문에 시간표를 계획할 때 다른 프로그램의 시간표를 단순히 모방하거나 시간배정에만 의존해서 계획해서는 안 된다.
∙ 또한 교사들은 활동을 준비하고 계획하기 위한 자신의 시간을 별도로 설정하고 사용해야 한다.
∙ 때때로 교사들은 자신을 위해서 시간을 할애하는 것을 사치스럽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사치스러운 것이 아니라 반드시 필요한 시간이다.
∙ 교사들은 활동 시간에 교수에만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활동을 준비하거나 교재를 만들거나 정리하는 등의 작업을 해서는 안 된다.
∙ 그러므로 교사들은 영유아들이 도착하기 전에 모든 영역의 활동을 준비해야 하며,유아들이 집으로 돌아간 후에는 마지막 정리를 해야 한다.
∙ 교사들의 회의 또한 매우 중요한 일정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 그러므로 교사들이 함께 모여 계획하고 준비하면서 예기치 못한 상황들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의 회의를 정기적으로 자주 갖도록 해야 한다.
④ 시간표에 따라 활동의 진행을 미리 알려주어야 한다.
∙ 영유아들은 특정 활동에 집중하게 되면 다른 것에 관심을 돌리기가 쉽지 않다.
∙ 그러므로 활동이 끝나기 몇 분 전에 다음 활동으로의 이동을 미리 예고하는 것이 좋다.
∙ 모든 활동과 이동 시간은 학급 내의 모든 영유아들이 자신의 속도로 충분히 참여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3) 활동 간 이동
∙ 하나의 활동에서 다른 활동으로 이동하는 시간에 교사와 영유아들이 매우 분주하게 움직이면서도 편안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순조로운 이동을 위해서는 주의 깊은 계획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개별 영유아들에 대해서 잘 알고 집단의 구성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 한다.
∙ 이동 시간은 영유아들이 학습할 수 있는 시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 활동 간 이동 시간에 영유아들은 아무런 하는 일 없이 기다리거나 조용히 하도록 강요되어서는 안 된다.
∙ 이동 시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별 영유아들의 장애 정도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
∙ 영유아들마다 요구하는 시간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한 번에 모든 영유아들이 다 이동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소집단으로 나누어 차례대로 이동을 시작할 수도 있다.
∙ 특히 이동전에 참여한 활동의 종류가 모두 다를 수 있으며,이에 따라 영유아들마다 활동을 완수하고 정리하는 시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계획에 따라 이동을 진행해야 한다.
∙ 효과적인 이동을 위해서는 교사-영유아간 비율이 적절해야 한다.
∙ 특히 장애 영유아들의 경우에는 이동 시간에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보조나 지원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절한 성인이나 또래의 도움이 제공될 수 있도록 특수교육 실무사 등의 충분한 인력을 준비하고 이동 시간을 미리 계획해야 한다.
Q. ( )란 활동의 순서와 각 활동에 배정된 적절한 시간을 의미하며, 장애 영유아를 위한 학습 환경은 일과의 구성에 따라 그 효율성이 달라진다. 빈칸에 들어갈 말은?
- 활동시간표
Q. 활동시간표 계획에 대한 설명
- 활동시간표란 활동의 순서와 각 활동에 배정된 적절한 시간을 의미한다
- 장애영유아를 위한 학습 환경은 일과의 구성에 따라 그 효율성이 달라진다
- 교사들은 학급내의 모든 영유아들이 어떤 영역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활동 간 이동 역시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진행과 학습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ㅣ
Q. 하나의 활동에서 다른 활동으로 이동하는 시간에 교사와 영유아들이 매우 분주하게 움직이면서도 편안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 O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영유아를 위한 환경구성, 교재 선정 (2) | 2023.06.26 |
---|---|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과 절차 (0) | 2023.06.23 |
문제행동의 정의와 조기 중재의 필요성 (0) | 2023.06.23 |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과 언어교육 (0) | 2023.06.21 |
언어발달장애 학령기 언어발달과 언어중재, 언어학습장애 특성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