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시각장애의 진단평가와 사정 시각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적 지원과 중재

by 단단이다 2023. 6. 20.
728x90

[유아특수교육학]

 

 

1. 시각장애의 진단평가와 사정

1) 시력측정과 시기능 사정

ㅇ 시력검사
  • 만국식 시력표를 이용하여 실시함
  • 유아의 경우 시력검사용 그림표를 사용하기도 함 (한국실명예방재단)
ㅇ 시기능 사정
  • 아동이 활동을 하는 가운데 시력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시각적 수행능력을 돕는 것과 방해하는 것을 판별하는 목적이 있음
  • 시각적 능력, 시각적 주의집중, 시효율성을 파악함

2) 영유아의 시각장애 조기 발견을 위한 관찰

 ㅇ 눈과 손의 협응이 잘 안됨
 ㅇ 눈동자가 계속 움직임
 ㅇ 다래끼가 자주 생기고 눈이나 눈꺼풀이 충혈되고 눈물이 남
 ㅇ 눈꺼풀이 처지거나 부어 있거나 각막이 혼탁함
 ㅇ 책을 읽을 때 매우 큰 소리로 읽고, 머리를 많이 움직임
 ㅇ 신체활동을 싫어함
 ㅇ 글씨를 쓰거나 읽을 때 얼굴을 찡그림
 ㅇ 사물을 볼 때 눈을 자주 깜박거리고 눈을 자주 비비는 행동을 함
 ㅇ 현기증, 두통, 눈의 불쾌감을 느낌
 ㅇ 어떤 대상에 집중하는 시간이 짧고 자주 멍한 표정을 지음
 ㅇ 이름을 부르지 않고 질문 할 경우, 대답하지 않아서 무례하다고 오해를 받음

 

2. 시각장애를 지닌 영유아를 위한 교육적 지원과 중재

1) 시각장애의 유아 지도방법

ㅇ 감각단서의 활용

  • 잔존감각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전맹이거나 광각의 시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유아는 사물이나 경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다른 잔존감각에 의존할 필요가 있음
   ‣ 청각단서
    · 놀잇감을 배치할 때 소리 나는 장난감이나 오디오 테이프 등을 비치함
   ‣ 후각단서
    · 교사는 유아가 사물을 접할 때 부가적인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냄새를 맡아볼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함
   ‣ 운동단서
    · 움직임을 설명해 주거나 손으로 움직임을 미리 연습해 보는 것을 의미함
ㅇ 저시력 유아를 위한 지도 방법
  • 적절한 조도, 색대비, 거리, 위치를 고려하여 저시력 유아에게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
   - 조도
   ‣ 어떠한 광원이 바람직한지 알고 적절한 수준의 광원을 제공함
   - 색대비
   ‣ 높은 색대비는 기능적 시력을 최적화 하는데 도움이 됨
   - 거리와 위치
   ‣ 근시인 유아는 사물을 가깝게 보아야 하고 문자는 확대해서 보아야 함
   ‣ 터널 시야를 가지고 있는 유아는 멀리 있는 사물을 잘 보고 작은 사물을 더 쉽게 관찰 할 수 있음
   - 저시력 유아를 위한 빛 조절 방법
    ① 유아의 얼굴을 향한 직접적인 빛이나 반사는 피할 것
    ② 성인과 상호작용 시 성인의 얼굴이 밝게 보일 수 있도록 위치할 것
    ③ 교실 천장의 빛을 밝게 유지할 것

   ④ 교실의 벽은 밝은 색으로 설정할 것
ㅇ 손 위의 손 방법

 • 시각장애 유아를 지도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 손 - 위 - 손 방법
  ‣ 교사나 부모는 유아가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아의 손을 위에서 잡고 같이 수행하면서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줌
  - 손 - 아래 - 손 방법
  ‣ 교사나 부모의 손을 유아의 손 아래 놓고 수행함
  ‣ 직접 만지는 것을 싫어하는 촉각방어 현상을 보이는 유아에게 쓰이는 방법임
ㅇ 실제 사물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 시각장애아는 실제 사물의 모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예) 실제 고양이를 알지 못하는 경우, 고양이 놀잇감을 이해하기 어려움
  • 기능적이고 실제적인 환경은 시각장애아에게 가장 의미가 있음
  • 시각장애아에게 새로운 단어나 개념을 소개할 때는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상황에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함

ㅇ 대뇌피질성 시각장애 유아를 위한 교육전략
  • 다양한 감각자극을 줄이고 시각적 정보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사물을 바라볼 때 만져볼 기회를 제공함
  • 사물과 사물의 사이의 간격을 좁혀줌
  • 시각적 혼잡을 피함
  • 색 대비를 높이기 위해 노란색이나 빨간색 등으로 강조함

2) 시각장애 영유아의 일상생활 지도

ㅇ 시각장애 영유아의 일상생활 훈련

  •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익혀 가정과 유치원, 사회에서 안전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하도록 돕는 것을 의미함
  ① 식사하기
   ‣ 식사 전 오늘 식단과 그릇 위치 알려주기
   ‣ 유아의 손을 잡고 테이블 위 탐색하기
  ② 옷 입기
   ‣ 옷의 앞 · 뒤 구별을 위한 마크 확인하기

   ‣ 신발이나 장갑의 좌우 구별하기
   ‣ 자주 입는 옷에 표시하기
   (예) 매듭, 점자 꼬리 표, 안전핀 등

  ③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하기
   ‣ 적정한 양의 치약 짜기
   ‣ 수도의 뜨거운 물과 찬물 구분하기
   ‣ 화장실 표시 구분하기

3)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Q. 시각장애융의 감각단서를 활용에 대한 설명

  - 전맹인 시각장애유아는 사물이나 경험에 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다른 잔존감각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 정보습득을 위해 후각단서를 함께 제공한다

 - 청각단서를 활용하도록 소리자극을 준다

 

Q. 시각장애유아가 동물을 볼 수 없으므로 장난감 인형을 대신 사용하여 가르칠 수 있다. - X

  > 시각장애아는 실제 사물의 모형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모형을 이용해서 가르치는 방법은 한계가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