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크립트를 이용한 언어치료
1) 이론적 근거
(1) 스크립트
⦁ 정의: 어떤 특정 문맥 속에서 진행되는 단계적인 일련의 사건들을 설명하는 구조
⦁ 일상적인 상황 문맥은 그 즉각적인 상황에 대하여 화자 간에 공유하는 상황지식을 제공 → 상황적인 언어를 배우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
① Nelson 등(1983)
⦁ 아동의 언어습득에서 사회적, 인지적 문맥 중요 → 아동의 상황지식 강조
⦁ 아동의 상황 지식은 → 부모-아동 간 언어사용을 촉진시켜주는 경향
- 부모와의 공유지식 제공
- 부모는 아동 언어를 쉽게 해석
- 이러한 문맥은 아동에게 언어습득의 최대 기회 제공
⦁ 공유된 상황 지식은 언어적 기능의 관계를 깨닫도록 함
- 부모가 현재 문맥을 이해하므로 그 말에 적절한 기능의 관계를 깨닫도록 해 줌
② McLean 등-일상적인 결합 활동(스크립트의 일종)
⦁특징
- 아동에게 일상화된 상황
- 특정한 주제
- 논리적 순서에 따른 구성 행동들
- 예견할 수 있는 활동의 결말
③ Snow와 Goldfield(1983)
⦁그림책 읽기 문맥
⦁아동의 언어는, 그 문맥에서, 엄마가 사용했던 언어에 기원
⦁그러한 상황에서 쓰이는 성인언어의 예견성이 언어학습에 중요한 요소
④ Conti-Ramsden과 Friel-Patti(1986)
⦁스크립트의 정도를 조절한 세 가지 상황에서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비교
⦁좀 더 스크립트화된 상황에서
- 좀 더 복잡하고 긴 문장 사용
- 좀 더 발달된 대화기능(대화의 자발적 유도, 대화의 순서 채우기)
⑤ Snow, Perman과 Nathan(1986)
⦁스크립트 정도가 높은 문맥에서 → MLU(말의 길이)가 더 길어짐, 문법적 형태소의 사용 더 다양화
⑥ Harrison(1989) 2~5세 아동 60명 대상
⦁스크립트 문맥은
- 특히 4세 아동의 문장 이해력 촉진
- 문장 이해 시 실현가능성 전략을 사용하도록 함
- 즉, 인지적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여 문장이해능력 촉진
⑦ French(1986)
⦁상황적 문맥이 관계어 습득에 도움
- 시간적 관계어(먼저, 나중)
- 선택적 관계어(혹은, 때때로)
- 인과적 관계어(왜냐하면)이 문헌에서 보고된 시기보다 빨리 사용
(2) 스크립트 훈련 시 유용한 방법
⦁ 스크립트 안에 주고받는 대화의 기회를 많이 가질 것
⦁ 상황적 언어를 활동 속에서 많이 사용
⦁ 스크립트에 익숙해지면, 의도적으로 스크립트에 위반하여 → 아동의 자발적인 언어 유도
2) 스크립트 문맥의 활용 절차
① 단기적인 목표 언어의 구조를 계획
↳ 수용언어/표현언어, 의미론/구문론/화용론 등 다양
② 아동에게 익숙하고 주제가 있는 일상적인 스크립트 선정
⦁활동 순서가 익숙
예) 생일잔치: 노래→촛불불기→자르기
목욕: 비누칠→헹구기→머리감기→ 몸 닦기
⦁상황 이해하는데 신경 쓰느라, 말에는 주의 못하는 문제를 없앰
③ 선택된 스크립트 속에 포함될 하위행동들을 나열
⦁핵심적인 하위행동(생일잔치: 노래, 촛불불기 등)
⦁부수적인 하위행동(생일잔치: 초 꽂기, 선물 열어보기 등)
⦁하위행동의 양 조절
a. 신체결함 등으로 시간 多
b. 인지 및 언어적 수준이 남아 짧은 스크립트반복 좋음
⦁매 회기 약간씩의 하위행동의 변화가 좋은 경우
- 자폐(일상의 변화 싫어함)
④ 선택한 하위 행동마다 구체적인 목표언어 계획
⦁ 하위행동마다
⦁ 지시 따르게 하거나(수용) 혹은 말하게(표현)
예) 장소-행위(머리에(모자) 써, 케이크에 꽂아, 접시에 담아)
⑤ 불필요한 하위 행동 삭제
⦁ 목표 언어를 끼워 넣기에 무적절한 하위 행동 삭제
⑥ 목표 언어를 유도할 수 있는 상황이나 발화를 계획
⦁ 하위행동을 하면서 유도상황/발화를 미리 계획
스크립트 | 하위행동 | 유도상황/발화 | 가능한 목표언어 | 목표언어구조 | |
의미관계 | 화용적기능 | ||||
상자에서 케이크/작은 빵 꺼내기 | 잘 안 열리는 케이크상자를 아동에게 준다. | “케이크/빵 꺼내 주세요” “이거 열어주세요” |
대상-행위 | 물건 요구 | |
상자 위에 케이크 올려놓기 | 케이크를 다시 상자 속이 책상 아래 놓으려고 한다. | “위에 놓아요” | 장소-행위 | 행동 요구 | |
초 꽂기 | 초를 꽂지도 않고 성냥을 켜려고 한다. |
“초/이거 꽂아요” | 대상-행위 | 행동 요구 | |
성냥으로 촛불 켜기 | “이걸로 뭐할까?” | “성냥 켜요” “촛불 부쳐요” |
대상-행위 | 행동 요구 | |
생일 노래 부르기 | “누가 노래 부를까 | “선생님이 부르세요” | 행 위 자 -행 위 | 행동 요구 | |
촛불 끄기 | “내가/불래요” | 행위 | 요청 | ||
초 빼기 | "누가 뺄까?" | “내가 뺄래요” | 향위자-행위 | 주장 | |
칼로 자르기 | “선생님이 자를까?” | “내가 자를래요” | 행위자-행위 | 주장 | |
접시에 놓기 | 케이크를 들고 두리번 거린다 | “접시에/여기에 주세요” | 장소-행위 | 행동 요구 | |
포크로 먹기 | 포크를 꺼내놓지 않는다. | “포크 주세요” “포크로 먹을래요” |
대상-행위, 도구-행위 | 물건 요구, 주장 | |
휴지로 입닦기 | 휴지와 종이 또는 수건을 선택하게 한다. | “휴지 주세요” “휴지로 닦을래요” |
대상-행위, 도구-행위 | 행동 요구, 주장 | |
휴지통에 휴지 넣기 |
닦은 휴지를 들고 두리번 거린다. | “휴지통에넣으세요/버리세요” | 장소-행위 | 행동 요구 | |
휴지통으로 던진다 | “(안) 들어갔어요” | (부정)-상태 | 서술 | ||
주스를 컵에 따르기 | 좋은 컵과 낡은 컵, 색이 다른 컵 등을 준비한다. | “그 컵/그거 말구요/싫어요” “빨간 컵 주세요” |
지시 -실체 -서술 -수식 -대상 -행위 |
거부, 물건 요구 | |
주스 마시기 | 주스를 마시며 맛없는 척을 한다. | “이거/이 주스 맛있어요” “이거/이 주스 시원해요” |
실체/상태 | 서술 |
⦁ 유도발화/상황은 융통성 있게
예) 쥬스를 컵에 따르기-컵을 아동에게 제시함
목표가 ‘거부하기’라면 → 싫어하는 컵 제시
‘주장하기’라면 → 두 개 컵 제시
⑦ 계획한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반복 실시
⦁ 준거 수준에 도달할 때 까지
a. 매 회기 같은 활동을 반복 or
b. 3가지 정도 유사한 스크립트 활동을 매번 바꾸어 가며 실시(Hwang, 2001)
- 체계적인 스크립트 변형 절차 사용
- 4명 언어발달장애 아동
▶ 간식 스크립트, 공작 스크립트
중재 1단계(기본단계) | 중재 2단계(변형단계) | 중재 3단계(변형단계) | ||||
목표 언어 |
대상-행위 배경(장소)-행위 |
대상-행위 배경(장소)-행위 대상-배경(장소)-행위 행위자-대상-행위 |
대상-행위 배경(장소)-행위 대상-배경(장소)-행위 행위자-대상-행위 |
|||
목 표 문 장 의 예 |
간식 스크 립트 |
활동 (과자샌드 만들기) | 중복 활동 (과자샌드 만들기) |
새로운 활동 (코코아우유 만들기) |
중복활동 (코코아우유 만들기) |
새로운 활동 (식탁 차리기) |
과자 주세요 그릇에 놓아 잼 떠 과자에 발라 과자 덮어 접시에 담아 |
과자에 발라 과자 엎어 접시에 담아 |
우유 컵에 부어 / 코코아 넣어 / 00가 우유 저어 | 우유컵에 부어 코코아 넣어 00가 우유 저어 |
쟁반에 놓아 과자샌드 쟁반에 놓아 00가 간식 먹어 |
||
공작스크립ㅌ | 활동 (그림에 색칠하기) | 중복활동 (그림에 색칠하기) |
새로운 활동 (그림 잘라 붙이기) |
중복활동 (그림 잘라 붙이기) |
새로운 활동 (주사위 만들기) |
|
크레파스 꺼내 / 종이에 그려 / 뚜껑 열어 / 물감 짜 / 그림에 색칠해 / 물에 씻어 | 물감 짜 그림에 색칠해 물에 씻어 |
00가 그림 잘라 종이에 풀칠해 그림 종이에 붙여 |
00가 그림 잘라 종이에 풀칠해 그림 종이에 붙여 |
00가 종어 접어 테이프 종이에 붙여 주사위 던져 |
- 각 하위단계 종료 준거: 정확도 60% 또는 9회기
- 각 하위단계마다 중복된 활동과 새로운 활동을 넣어 훈련
- 완벽하지 못해도 전반을 약간 넘겼어가 9회기 시행 시 새로운 훈련요소 삽입
- 일반화에 매우 긍정적
2. 낱말찾기 훈련
1) 낱말찾기 장애의 특성
(1) 낱말찾기 장애 정의
⦁ 어떤 상황이나 자극 하에서 특정 낱말 산출 어려움
(2) 출현
⦁ 단순언어장애아동에게 많이 나타남
- 연구과제: 그림 이름대기
- 결과: 일반아동에 비해 반응 정확도가 낮고, 반응시간도 지연됨
언어능력이 유사한 또래에 비해서 차이를 보이지 않음
(3) 단순언어장애 낱말찾기 어려움과 관련된 가설(Kail, 1984)
① 저장 가설: 어휘력 빈약 or 의미 기억 속에 낱말 정확하게 표상하지 못했기 때문
② 인출 가설: 저장된 어휘의 인출 문제 → 학자마다 이유 설명 다름
(4) 산출한 오류를 분석하여 언어처리과정을 통해 설명하려고 시도
① 오류 빈도, 오류 유형으로 분석
⦁오류 빈도: SLI>Nor(생활연령 동일), SLI=Nor(언어연령 동일) → 낱말찾기 능력은 언어연령과 관련 있음
⦁ 오류 항목을 이해하는지 검사→ 이해O
⦁ 낱말을 적절하게 인출하지 못한 것이 원인(인출가설 지지)
⦁ but 낱말 저장과정이 정교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보일 수도
② 오류유형
⦁ 의미적 오류: 상위개념어, 대등어, 하위개념어, 기능적, 장소적..... (예: 가구 → 책상)
⦁ 음운적 오류: 음소대치, 음소첨가, 음소생략, 음소반복.... (예: 가구→ 다구)
⦁시각적 오류: 시각적으로 유사한 낱말로 대치 (예, 우표 → 그림)
⦁기타: ‘모른다.’ 등
⦁기타 오류에서만 SLI > Nor (생활연령 동일)
a. 두 일반아동 집단: 의미적 오류> 시각적 오류>기타 오류>음운적 오류
b. SLI 집단: 기타 오류>의미적 오류>시각적 오류>음운적 오류
- 낱말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게 알지 못해서
- 빠르게 인출되지 않아 쉽게 포기
- 실패 경험이 과제를 수행하는 태도가 반영이 되어서
⦁SLI 아동
a. 이름대기 과제
- 기타 제외 시 의미적 오류 多(일반 집단과 동일)
- 목표낱말과 관련된 의미적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
b. 이름대기, 이해 과제
- 시각적 오류 多
- 낱말 지식 부족 시 시각적 정보에 의존
2) 낱말 찾기 훈련
(1) 교육적 중재 활동
⦁ 소리내어 연습하기
⦁ 그림이나 사물보고 이름대기
⦁ 대화 형식 속에 이름대기
⦁ 철자대기
⦁ 빈 칸 채우기, 특정 주제에 대해 글쓰기
⦁ 비슷한 말, 반대말, 동음이의어 등의 낱말대기
(2) 언어장애아동들이 낱말이 생각나지 않을 때
⦁ 낱말찾기 행동(반복, 재구성, 대치)을 많이 사용
⦁ 간투어 많이 사용
⦁ 읽기 발달에 영향미침(난독증 아동에게 발견)
- 적절한 속도로 자동적인 낱말 산출이 필수
(3) 훈련목표낱말의 선정
⦁ 기존 연구들- 간단한 명사 사용
▶ 효과적인 중재를 위해 고려할 것
아동 연령 | ⦁연령에 적합한 어휘 선택 ⦁아직 모르는, 약간 아는, 아주 잘 아는 어휘로 나누어 차별화된 중재 전략 사용 好 |
아동 흥미나 주제 | ⦁개별적인 낱말보다 유사한 주제, 선호도 관련 단어 주제 중심으로 하는 낱말은 확장, 대조시켜 새 낱말 훈련에 유리 특정 범주에서만 결함 있는 경우도 있음 (예: 캐릭터) |
아동이 어려움을 겪는 낱말 | ⦁ 차별화 된 중재 전략 사용 |
(4) 언어중재 상황
⦁ 개별, 소집단, 대집단
⦁ 일반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훈련
(5) 활동
⦁ 기억확장활동(기억용량을 늘리는 활동)
⦁ 기억인출활동(기억을 효율적으로 끄집어 내는 활동)
① 목표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낱말 이용
② 목표어와 음운적으로 관련된 특성(초성, 첫음절, 음절수 등) 이용
③ 목표어의 시청각적 느낌(예, 첫 글자) 이용
④ 목표어의 크기, 질감, 운동성과 같은 감각 운동적 특성(예, 마임) 이용
⑤ 목표어가 발생하는 문맥적 특성 이용
⦁ 단서와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에 효과적
의미적 단서 | 기억확장활동과 관련 ⦁동의어나 반의어(예 : 교재) ⦁연상어 ⦁동음이의어 ⦁상위범주어 ⦁하위범주어 ⦁목표 낱말의 기능 ⦁물리적 특성 ⦁몸짓으로 낱말 흉내 내는 것 |
구문적 단서 | ⦁자주 사용되는 문맥이나 상용구 사용 (예: ‘00 먹고 맴맴’(고추)) |
음향-음소적 단서 | 기억인출활동과 관련 ⦁첫 음절 제시(예 : 교재) ⦁음절수 손으로 두드리거나 혹은 손가락으로 알려주는 것 ⦁첫 글자 써줌 |
⦁ 여러 단서를 주어 훈련 좋음
⦁ 의미적 단서- 기억확장활동, 음향적 단서-기억인출활동
- 낱말 찾기 결함이 정보저장 문제인지, 정보인출 문제인지 구별 쉽지 않음
- 한 과정에만 초점X, 두 과정을 병행, 더 나은 일반화 효과
▶ 정보처리단계모델(Craik와 Lockart, 1972)
⦁음향-음소적 정보처리 : 표면적 처리 단계 ⦁의미 구문적 정보처리 : 심층적 처리 단계 |
⦁의미 구문적 정보처리가 이루어지면 → 기억 저장도 잘됨 |
⦁실제 낱말 찾기에 결함을 보이는 아동들에게는 의미-구문적 단서보다 낱말찾기 능력을 더 효율적으로 증진 사례 |
(6) 치료 효과의 측정
⦁ 전통적 방법: 그림보고 이름대기 과제
⦁ 척도: 전체목표 낱말 수에 대한 오류수의 비율(%)과 반응시간(msec)
⦁ 측정 시기: 치료 종료 후, 일상대화(일반화)에서의 어려움 측정
3.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을 위한 언어치료
1)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 정의
① 언어의 화용적인 기술로 특정한 참조물(사물, 장소, 생각 등)에 대하여 다른 사람과 정보를 주고받는 것
- 즉, 참조물의 특징이나 속성을 선택하여 언어적으로 기술하는 능력
② 일반적인 의사소통에서뿐만 아니라 교실 담화에서 중요
③ 지시하기, 설명하기, 기술하기와 같은 기술이 포함
④ 학령기 동안 지속적으로 발달
2) 참조적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수행을 위한 기초 능력
(1) 화자는 청자에 대한 분석기술 가짐
⦁ 청자의 관점을 분석하여, 청자의 관점에서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
⦁ 청자가 얼마만큼의 정보를 필요로 하느냐에 따라 메시지 수정
(2) 화자- 과제 분석기술
⦁ 자신이 말하려는 정보가 참조물과 비참조물을 구별해 줄 수 있어야 함
(3) 청자- 정보 분석 기술
⦁ 화자가 산출한 정보를 들은 후에 그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
⦁ 나이 어린 아동은 불완전한 것을 인식하는데 어려움
3) 참조적 의사소통에 필요한 특정한 기술
(1) 특정 기술 유형
⦁ 본질적 기술 : 의사소통하려는 사건에 대한 지식,
⦁ 수행기술 : 어휘능력, 지각이나 운동능력 포함
⦁ 절차에 대한 지식: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의 규칙에 대한 지식 → 상위의사소통 지식의 하위 기술이라고도 할 수 있음
(2) 특정 기술 발달
① 본질적 기술과 수행기술은 매우 이른 시기 발달, but 절차에 대한 지식은 점진적 발달
② 학령 전 아동 실패의 주된 원인은 절차에 대한 지식 부족 때문
⦁ 학령 전 아동은 차별화규칙 이해 문제
- 참조물과 혼동되는 주변사건과의 차이를 기술하는 규칙
⦁학령 전 아동은 역할조정 이해 문제
- 화자로서 자신의 수행을 지배하는 규칙을 청자가 되어서도 적용
- 청자로서 자신의 수행을 지배하는 규칙을 화자가 되어서도 적용
⦁ 화자와 청자의 역할이 상호보완적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
4) 참조적 의사소통 발달
(1) 화자기술이 청자 기술보다 먼저 발달
⦁ 학령기 아동은 참조물 기술 어려움 X, 청자 이해 못한 부분 보완하여 다시 표현하는 데 문제 있음
⦁ 일반아동의 경우 참조적 의사소통 기술이 10세가 되어서야 완성
(2) MR과 일반아동
⦁ 참조물 그 자체만으로 구별되는 쉬운 과제- 차이 X
⦁ 참조물의 변별적인 특징 언급 과제- MR지체
(3) SLI아동과 일반아동 비교
① 측정 요소
⦁ 알고 있는 참조물 특징의 수
⦁ 중복된 특징의 수
⦁ 비정보적인 특징의 수(참조물 파악에 도움이 되지 않은 정보)
② 결과
⦁ 일반 아동
- 알고 있는 참조물 특징의 수-10세까지 증가
- 중복된 특징 수, 비정보적인 특징 수 - 8세까지 증가, 8세 이후 감소
③ SLI 아동
- 참조적 의사소통 과제에서 어려움 보임
(4) 화용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비교
⦁ 정보의 정확성, 성인의 지시 따르기에서 차이 x
⦁ 명료화 요구하기 차이 O
⦁ 부적절한 정보 제공 시
- Nor 아동은 속지 않으려고 but 화용장애 아동은 그것을 인식X
- 화용장애 아동 질적으로 다른, 덜 효율적인 방법 사용
5) 의사소통 기술 중재 효과
① MR, 지각적 피드백 제공이 의사소통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연구 (Brow nell과 Whiteley, 1992)
⦁차별화 규칙을 강조하는 구체적인 피드백 제공 O or X
↳참조물과 혼동되는 주변사건과의 차이를 기술하는 규칙
예) 틀렸어, 그런 게 여기 2개가 있는 데, 그게 다른 거 하고 어떻게 다른 지 말해 줄래?
맞았어, 그 카드가 다른 타드랑 어떻게 다른지 말 말해 주었네
⦁ 사후 및 전이 과제에서 수행이 우월
② 학습장애아동, 장벽게임이용, 참조적의사소통 지도(Bunce, 1989)
⦁ 장벽 게임: 두 사람 사이에 가리개를 놓아 의사소통이 언어로만 가능
⦁ 의사소통 기술 향상됨
③ 언어장애아동, 장벽게임(김영태 등, 1999)
⦁ 차별화 규칙 사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지각적인 피드백 사용’추가
예) 틀렸어, 그런 게 여기 2개가 있는 데, 그게 다른 거 하고 어떻게 다른 지 말해 줄래?
맞았어, 그 카드가 다른 타드랑 어떻게 다른지 말 말해 주었네
⦁과제가 끝날 때마다 수행을 평가하는 시간을 가짐
⦁사용한 훈련 과제
- 옷입히기, 집꾸미기, 얼굴꾸미기 등
Q. 낱말찾기 장애란?
- 낱말찾기 장애란 어떤 상황이나 자극 하에서 특정 낱말 산출이 어려운 것을 의미
Q. 참조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의사소통 기술
- 지시하기
- 설명하기
- 기술하기
Q. 낱말찾기 훈련 시 아동의 연령은 중요하지 않다 - X
> 연령에 적합한 어휘 선택을 해야 함. 아직 모르는, 약간 아는, 아주 잘 아는 어휘로 나누어 차별화된 중재 전략에 사용함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장애 정의와 분류 원인과 출현율 특성 (0) | 2023.06.20 |
---|---|
환경중심 언어중재 프로그램과 중증 언어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 프로그램 (0) | 2023.06.20 |
지적장애 아동 행동중재의 구체적 전략과 긍정적 행동지원 (0) | 2023.06.16 |
지적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전환교육 (1) | 2023.06.16 |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기관 공간구성 사회적 환경 점검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