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을 위한 언어치료 프로그램(스크립트, 낱말찾기 훈련)

by 단단이다 2023. 6. 20.
728x90

1. 스크립트를 이용한 언어치료

1) 이론적 근거

(1) 스크립트
  ⦁ 정의: 어떤 특정 문맥 속에서 진행되는 단계적인 일련의 사건들을 설명하는 구조
  ⦁ 일상적인 상황 문맥은 그 즉각적인 상황에 대하여 화자 간에 공유하는 상황지식을 제공 → 상황적인 언어를 배우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
   ① Nelson 등(1983)
   ⦁ 아동의 언어습득에서 사회적, 인지적 문맥 중요 → 아동의 상황지식 강조
   ⦁ 아동의 상황 지식은 → 부모-아동 간 언어사용을 촉진시켜주는 경향
    - 부모와의 공유지식 제공
    - 부모는 아동 언어를 쉽게 해석
    - 이러한 문맥은 아동에게 언어습득의 최대 기회 제공
   ⦁ 공유된 상황 지식은 언어적 기능의 관계를 깨닫도록 함
    - 부모가 현재 문맥을 이해하므로 그 말에 적절한 기능의 관계를 깨닫도록 해 줌
   ② McLean 등-일상적인 결합 활동(스크립트의 일종)
   ⦁특징
    - 아동에게 일상화된 상황
    - 특정한 주제
    - 논리적 순서에 따른 구성 행동들
    - 예견할 수 있는 활동의 결말
   ③ Snow와 Goldfield(1983)
   ⦁그림책 읽기 문맥
   ⦁아동의 언어는, 그 문맥에서, 엄마가 사용했던 언어에 기원
   ⦁그러한 상황에서 쓰이는 성인언어의 예견성이 언어학습에 중요한 요소

   ④ Conti-Ramsden과 Friel-Patti(1986)
   ⦁스크립트의 정도를 조절한 세 가지 상황에서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비교
   ⦁좀 더 스크립트화된 상황에서
    - 좀 더 복잡하고 긴 문장 사용
    - 좀 더 발달된 대화기능(대화의 자발적 유도, 대화의 순서 채우기)
   ⑤ Snow, Perman과 Nathan(1986)
   ⦁스크립트 정도가 높은 문맥에서 → MLU(말의 길이)가 더 길어짐, 문법적 형태소의 사용 더 다양화
   ⑥ Harrison(1989) 2~5세 아동 60명 대상
   ⦁스크립트 문맥은
    - 특히 4세 아동의 문장 이해력 촉진
    - 문장 이해 시 실현가능성 전략을 사용하도록 함
    - 즉, 인지적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여 문장이해능력 촉진
   ⑦ French(1986)
   ⦁상황적 문맥이 관계어 습득에 도움
    - 시간적 관계어(먼저, 나중)
    - 선택적 관계어(혹은, 때때로)
    - 인과적 관계어(왜냐하면)이 문헌에서 보고된 시기보다 빨리 사용
 (2) 스크립트 훈련 시 유용한 방법
  ⦁ 스크립트 안에 주고받는 대화의 기회를 많이 가질 것
  ⦁ 상황적 언어를 활동 속에서 많이 사용
  ⦁ 스크립트에 익숙해지면, 의도적으로 스크립트에 위반하여 → 아동의 자발적인 언어 유도

2) 스크립트 문맥의 활용 절차

① 단기적인 목표 언어의 구조를 계획
                       ↳ 수용언어/표현언어, 의미론/구문론/화용론 등 다양
② 아동에게 익숙하고 주제가 있는 일상적인 스크립트 선정
   ⦁활동 순서가 익숙
    예) 생일잔치: 노래→촛불불기→자르기
          목욕: 비누칠→헹구기→머리감기→ 몸 닦기
   ⦁상황 이해하는데 신경 쓰느라, 말에는 주의 못하는 문제를 없앰
  ③ 선택된 스크립트 속에 포함될 하위행동들을 나열
   ⦁핵심적인 하위행동(생일잔치: 노래, 촛불불기 등)
   ⦁부수적인 하위행동(생일잔치: 초 꽂기, 선물 열어보기 등)

   ⦁하위행동의 양 조절
    a. 신체결함 등으로 시간 多
    b. 인지 및 언어적 수준이 남아 짧은 스크립트반복 좋음
   ⦁매 회기 약간씩의 하위행동의 변화가 좋은 경우
  - 자폐(일상의 변화 싫어함)
  ④ 선택한 하위 행동마다 구체적인 목표언어 계획
   ⦁ 하위행동마다
   ⦁ 지시 따르게 하거나(수용) 혹은 말하게(표현)
    예) 장소-행위(머리에(모자) 써, 케이크에 꽂아, 접시에 담아)
  ⑤ 불필요한 하위 행동 삭제
   ⦁ 목표 언어를 끼워 넣기에 무적절한 하위 행동 삭제
  ⑥ 목표 언어를 유도할 수 있는 상황이나 발화를 계획
    ⦁ 하위행동을 하면서 유도상황/발화를 미리 계획

스크립트 하위행동 유도상황/발화 가능한 목표언어 목표언어구조
의미관계 화용적기능
상자에서 케이크/작은 빵 꺼내기 잘 안 열리는 케이크상자를 아동에게 준다. “케이크/빵 꺼내 주세요”
“이거 열어주세요”
대상-행위 물건 요구
상자 위에 케이크 올려놓기 케이크를 다시 상자 속이  책상 아래 놓으려고 한다. “위에 놓아요”   장소-행위 행동 요구
초 꽂기 초를 꽂지도 않고
성냥을 켜려고 한다.
“초/이거 꽂아요”  대상-행위  행동 요구
성냥으로 촛불 켜기 “이걸로 뭐할까?” “성냥 켜요”
“촛불 부쳐요”
대상-행위 행동 요구
생일 노래 부르기 “누가 노래 부를까  “선생님이 부르세요”  행 위 자 -행 위  행동 요구
촛불 끄기   “내가/불래요”  행위 요청
초 빼기   "누가 뺄까?" “내가 뺄래요”  향위자-행위 주장
칼로 자르기 “선생님이 자를까?”  “내가 자를래요” 행위자-행위 주장
접시에 놓기 케이크를 들고 두리번 거린다 “접시에/여기에 주세요” 장소-행위 행동 요구
포크로 먹기 포크를 꺼내놓지 않는다. “포크 주세요”
“포크로 먹을래요”
대상-행위, 도구-행위 물건 요구, 주장
휴지로 입닦기 휴지와 종이 또는 수건을 선택하게 한다. “휴지 주세요”
“휴지로 닦을래요”
대상-행위, 도구-행위 행동 요구, 주장
휴지통에 휴지
넣기
닦은 휴지를 들고 두리번 거린다. “휴지통에넣으세요/버리세요” 장소-행위 행동 요구
휴지통으로 던진다 “(안) 들어갔어요” (부정)-상태 서술
주스를 컵에 따르기 좋은 컵과 낡은 컵, 색이 다른 컵 등을 준비한다. “그 컵/그거 말구요/싫어요”
“빨간 컵 주세요”
지시
-실체
-서술
-수식
-대상
-행위
거부, 물건 요구
주스 마시기 주스를 마시며 맛없는 척을 한다. “이거/이 주스 맛있어요”
“이거/이 주스 시원해요”
실체/상태 서술

  ⦁ 유도발화/상황은 융통성 있게
   예) 쥬스를 컵에 따르기-컵을 아동에게 제시함
         목표가 ‘거부하기’라면 → 싫어하는 컵 제시
                    ‘주장하기’라면 → 두 개 컵 제시
  ⑦ 계획한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반복 실시
   ⦁ 준거 수준에 도달할 때 까지
    a. 매 회기 같은 활동을 반복 or
    b. 3가지 정도 유사한 스크립트 활동을 매번 바꾸어 가며 실시(Hwang, 2001)
   - 체계적인 스크립트 변형 절차 사용
   - 4명 언어발달장애 아동

▶ 간식 스크립트, 공작 스크립트

  중재 1단계(기본단계) 중재 2단계(변형단계) 중재 3단계(변형단계)
목표
언어
대상-행위
배경(장소)-행위
대상-행위
배경(장소)-행위
대상-배경(장소)-행위
행위자-대상-행위
대상-행위
배경(장소)-행위
대상-배경(장소)-행위
행위자-대상-행위





간식
스크
립트
활동 (과자샌드 만들기) 중복 활동
(과자샌드 만들기)
새로운 활동
(코코아우유 만들기)
중복활동
(코코아우유
만들기)
새로운 활동
(식탁 차리기)
과자 주세요
그릇에 놓아 잼 떠
과자에 발라 과자 덮어
접시에 담아
과자에 발라
과자 엎어
접시에 담아
우유 컵에 부어 / 코코아 넣어 / 00가 우유 저어 우유컵에 부어
코코아 넣어
00가 우유
저어
쟁반에 놓아
과자샌드
쟁반에 놓아
00가 간식
먹어
공작스크립ㅌ 활동 (그림에 색칠하기) 중복활동
(그림에 색칠하기)
새로운 활동
(그림 잘라 붙이기)
중복활동
(그림 잘라 붙이기)
새로운 활동
(주사위 만들기)
크레파스 꺼내 / 종이에 그려 / 뚜껑 열어 / 물감 짜 / 그림에 색칠해 / 물에 씻어 물감 짜
그림에
색칠해
물에 씻어
00가 그림
잘라 종이에
풀칠해
그림 종이에
붙여
00가 그림
잘라 종이에
풀칠해
그림 종이에
붙여
00가 종어
접어 테이프
종이에 붙여
주사위 던져

- 각 하위단계 종료 준거: 정확도 60% 또는 9회기
- 각 하위단계마다 중복된 활동과 새로운 활동을 넣어 훈련
- 완벽하지 못해도 전반을 약간 넘겼어가 9회기 시행 시 새로운 훈련요소 삽입

- 일반화에 매우 긍정적

 

2. 낱말찾기 훈련

1) 낱말찾기 장애의 특성

 (1) 낱말찾기 장애 정의
  ⦁ 어떤 상황이나 자극 하에서 특정 낱말 산출 어려움
 (2) 출현
  ⦁ 단순언어장애아동에게 많이 나타남
   - 연구과제: 그림 이름대기
   - 결과: 일반아동에 비해 반응 정확도가 낮고, 반응시간도 지연됨

               언어능력이 유사한 또래에 비해서 차이를 보이지 않음

 (3) 단순언어장애 낱말찾기 어려움과 관련된 가설(Kail, 1984)
  ① 저장 가설: 어휘력 빈약 or 의미 기억 속에 낱말 정확하게 표상하지 못했기 때문
  ② 인출 가설: 저장된 어휘의 인출 문제 → 학자마다 이유 설명 다름
 (4) 산출한 오류를 분석하여 언어처리과정을 통해 설명하려고 시도
  ① 오류 빈도, 오류 유형으로 분석
   ⦁오류 빈도: SLI>Nor(생활연령 동일), SLI=Nor(언어연령 동일) → 낱말찾기 능력은 언어연령과 관련 있음
   ⦁ 오류 항목을 이해하는지 검사→ 이해O
   ⦁ 낱말을 적절하게 인출하지 못한 것이 원인(인출가설 지지)
   ⦁ but 낱말 저장과정이 정교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보일 수도
  ② 오류유형
   ⦁ 의미적 오류: 상위개념어, 대등어, 하위개념어, 기능적, 장소적..... (예: 가구 → 책상)
   ⦁ 음운적 오류: 음소대치, 음소첨가, 음소생략, 음소반복.... (예: 가구→ 다구)
   ⦁시각적 오류: 시각적으로 유사한 낱말로 대치 (예, 우표 → 그림)
   ⦁기타: ‘모른다.’ 등
   ⦁기타 오류에서만 SLI > Nor (생활연령 동일)
    a. 두 일반아동 집단: 의미적 오류> 시각적 오류>기타 오류>음운적 오류
    b. SLI 집단: 기타 오류>의미적 오류>시각적 오류>음운적 오류
   - 낱말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게 알지 못해서
   - 빠르게 인출되지 않아 쉽게 포기
   - 실패 경험이 과제를 수행하는 태도가 반영이 되어서
   ⦁SLI 아동
    a. 이름대기 과제
   - 기타 제외 시 의미적 오류 多(일반 집단과 동일)
   - 목표낱말과 관련된 의미적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
    b. 이름대기, 이해 과제
   - 시각적 오류 多
   - 낱말 지식 부족 시 시각적 정보에 의존

2) 낱말 찾기 훈련

(1) 교육적 중재 활동
  ⦁ 소리내어 연습하기
  ⦁ 그림이나 사물보고 이름대기
  ⦁ 대화 형식 속에 이름대기
  ⦁ 철자대기
  ⦁ 빈 칸 채우기, 특정 주제에 대해 글쓰기
  ⦁ 비슷한 말, 반대말, 동음이의어 등의 낱말대기

 (2) 언어장애아동들이 낱말이 생각나지 않을 때
  ⦁ 낱말찾기 행동(반복, 재구성, 대치)을 많이 사용
  ⦁ 간투어 많이 사용
  ⦁ 읽기 발달에 영향미침(난독증 아동에게 발견)
  - 적절한 속도로 자동적인 낱말 산출이 필수
 (3) 훈련목표낱말의 선정
  ⦁ 기존 연구들- 간단한 명사 사용

▶ 효과적인 중재를 위해 고려할 것

아동 연령 ⦁연령에 적합한 어휘 선택
⦁아직 모르는, 약간 아는, 아주 잘 아는 어휘로 나누어 차별화된 중재 전략 사용 好
아동 흥미나 주제 ⦁개별적인 낱말보다 유사한 주제, 선호도 관련 단어 주제 중심으로 하는 낱말은 확장, 대조시켜 새 낱말 훈련에 유리 특정 범주에서만 결함 있는 경우도 있음 (예: 캐릭터)
아동이 어려움을 겪는 낱말 ⦁ 차별화 된 중재 전략 사용

 (4) 언어중재 상황
  ⦁ 개별, 소집단, 대집단
  ⦁ 일반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훈련
 (5) 활동
  ⦁ 기억확장활동(기억용량을 늘리는 활동)
  ⦁ 기억인출활동(기억을 효율적으로 끄집어 내는 활동)
   ① 목표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낱말 이용
   ② 목표어와 음운적으로 관련된 특성(초성, 첫음절, 음절수 등) 이용
   ③ 목표어의 시청각적 느낌(예, 첫 글자) 이용
   ④ 목표어의 크기, 질감, 운동성과 같은 감각 운동적 특성(예, 마임) 이용
   ⑤ 목표어가 발생하는 문맥적 특성 이용
  ⦁ 단서와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에 효과적

의미적 단서 기억확장활동과 관련
⦁동의어나 반의어(예 : 교재)
⦁연상어
⦁동음이의어
⦁상위범주어
⦁하위범주어
⦁목표 낱말의 기능
⦁물리적 특성
⦁몸짓으로 낱말 흉내 내는 것
구문적 단서 ⦁자주 사용되는 문맥이나 상용구 사용 (예: ‘00 먹고 맴맴’(고추))
음향-음소적 단서 기억인출활동과 관련
⦁첫 음절 제시(예 : 교재)
⦁음절수 손으로 두드리거나 혹은 손가락으로 알려주는 것
⦁첫 글자 써줌

  ⦁ 여러 단서를 주어 훈련 좋음
  ⦁ 의미적 단서- 기억확장활동, 음향적 단서-기억인출활동
   - 낱말 찾기 결함이 정보저장 문제인지, 정보인출 문제인지 구별 쉽지 않음
   - 한 과정에만 초점X, 두 과정을 병행, 더 나은 일반화 효과

▶ 정보처리단계모델(Craik와 Lockart, 1972)

⦁음향-음소적 정보처리 : 표면적 처리 단계
⦁의미 구문적 정보처리 : 심층적 처리 단계
⦁의미 구문적 정보처리가 이루어지면 → 기억 저장도 잘됨
⦁실제 낱말 찾기에 결함을 보이는 아동들에게는 의미-구문적 단서보다 낱말찾기 능력을 더 효율적으로 증진 사례

(6) 치료 효과의 측정
⦁ 전통적 방법: 그림보고 이름대기 과제
⦁ 척도: 전체목표 낱말 수에 대한 오류수의 비율(%)과 반응시간(msec)
⦁ 측정 시기: 치료 종료 후, 일상대화(일반화)에서의 어려움 측정

 

3.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을 위한 언어치료

1)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 정의

 ① 언어의 화용적인 기술로 특정한 참조물(사물, 장소, 생각 등)에 대하여 다른 사람과 정보를 주고받는 것
  - 즉, 참조물의 특징이나 속성을 선택하여 언어적으로 기술하는 능력

 ② 일반적인 의사소통에서뿐만 아니라 교실 담화에서 중요
 ③ 지시하기, 설명하기, 기술하기와 같은 기술이 포함
 ④ 학령기 동안 지속적으로 발달

2) 참조적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수행을 위한 기초 능력

 (1) 화자는 청자에 대한 분석기술 가짐
  ⦁ 청자의 관점을 분석하여, 청자의 관점에서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
  ⦁ 청자가 얼마만큼의 정보를 필요로 하느냐에 따라 메시지 수정
 (2) 화자- 과제 분석기술
  ⦁ 자신이 말하려는 정보가 참조물과 비참조물을 구별해 줄 수 있어야 함
 (3) 청자- 정보 분석 기술
  ⦁ 화자가 산출한 정보를 들은 후에 그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
  ⦁ 나이 어린 아동은 불완전한 것을 인식하는데 어려움

3) 참조적 의사소통에 필요한 특정한 기술

 (1) 특정 기술 유형
   ⦁ 본질적 기술 : 의사소통하려는 사건에 대한 지식,
   ⦁ 수행기술 : 어휘능력, 지각이나 운동능력 포함
   ⦁ 절차에 대한 지식: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의 규칙에 대한 지식 → 상위의사소통 지식의 하위 기술이라고도 할 수 있음
(2) 특정 기술 발달
  ① 본질적 기술과 수행기술은 매우 이른 시기 발달, but 절차에 대한 지식은 점진적 발달
  ② 학령 전 아동 실패의 주된 원인은 절차에 대한 지식 부족 때문
   ⦁ 학령 전 아동은 차별화규칙 이해 문제
    - 참조물과 혼동되는 주변사건과의 차이를 기술하는 규칙
   ⦁학령 전 아동은 역할조정 이해 문제
    - 화자로서 자신의 수행을 지배하는 규칙을 청자가 되어서도 적용
    - 청자로서 자신의 수행을 지배하는 규칙을 화자가 되어서도 적용
   ⦁ 화자와 청자의 역할이 상호보완적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

4) 참조적 의사소통 발달

 (1) 화자기술이 청자 기술보다 먼저 발달
  ⦁ 학령기 아동은 참조물 기술 어려움 X, 청자 이해 못한 부분 보완하여 다시 표현하는 데 문제 있음
  ⦁ 일반아동의 경우 참조적 의사소통 기술이 10세가 되어서야 완성

 (2) MR과 일반아동
  ⦁ 참조물 그 자체만으로 구별되는 쉬운 과제- 차이 X
  ⦁ 참조물의 변별적인 특징 언급 과제- MR지체
 (3) SLI아동과 일반아동 비교
  ① 측정 요소
  ⦁ 알고 있는 참조물 특징의 수
  ⦁ 중복된 특징의 수
  ⦁ 비정보적인 특징의 수(참조물 파악에 도움이 되지 않은 정보)
 ② 결과
  ⦁ 일반 아동
  - 알고 있는 참조물 특징의 수-10세까지 증가
  - 중복된 특징 수, 비정보적인 특징 수 - 8세까지 증가, 8세 이후 감소
③ SLI 아동
  - 참조적 의사소통 과제에서 어려움 보임
(4) 화용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비교
  ⦁ 정보의 정확성, 성인의 지시 따르기에서 차이 x
  ⦁ 명료화 요구하기 차이 O
  ⦁ 부적절한 정보 제공 시
   - Nor 아동은 속지 않으려고 but 화용장애 아동은 그것을 인식X
   - 화용장애 아동 질적으로 다른, 덜 효율적인 방법 사용

5) 의사소통 기술 중재 효과

① MR, 지각적 피드백 제공이 의사소통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연구 (Brow nell과 Whiteley, 1992)
  ⦁차별화 규칙을 강조하는 구체적인 피드백 제공 O or X
          ↳참조물과 혼동되는 주변사건과의 차이를 기술하는 규칙
   예) 틀렸어, 그런 게 여기 2개가 있는 데, 그게 다른 거 하고 어떻게 다른 지 말해 줄래?
         맞았어, 그 카드가 다른 타드랑 어떻게 다른지 말 말해 주었네
  ⦁ 사후 및 전이 과제에서 수행이 우월
② 학습장애아동, 장벽게임이용, 참조적의사소통 지도(Bunce, 1989)
  ⦁ 장벽 게임: 두 사람 사이에 가리개를 놓아 의사소통이 언어로만 가능
  ⦁ 의사소통 기술 향상됨
③ 언어장애아동, 장벽게임(김영태 등, 1999)
  ⦁ 차별화 규칙 사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지각적인 피드백 사용’추가
   예) 틀렸어, 그런 게 여기 2개가 있는 데, 그게 다른 거 하고 어떻게 다른 지 말해 줄래?
         맞았어, 그 카드가 다른 타드랑 어떻게 다른지 말 말해 주었네

  ⦁과제가 끝날 때마다 수행을 평가하는 시간을 가짐
  ⦁사용한 훈련 과제
   - 옷입히기, 집꾸미기, 얼굴꾸미기 등

 

 

Q. 낱말찾기 장애란?

  - 낱말찾기 장애란 어떤 상황이나 자극 하에서 특정 낱말 산출이 어려운 것을 의미

 

Q. 참조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의사소통 기술

  - 지시하기

  - 설명하기

  - 기술하기

 

Q. 낱말찾기 훈련 시 아동의 연령은 중요하지 않다 - X

  > 연령에 적합한 어휘 선택을 해야 함. 아직 모르는, 약간 아는, 아주 잘 아는 어휘로 나누어 차별화된 중재 전략에 사용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