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운동발달의 이해
∙ 모든 인간은 태내에서부터 움직임을 보이며, 출생 후 영유아기,아동기를 거치면서 운동기술의 발달이 완성된다.
∙ 운동기술이란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고 사물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모든 종류의 학습에 결정적 기반을 제공한다.
∙ 영유아들은 신체활동을 통하여 행동영역을 확대하고 경험을 풍부하게 하여 생활 내용을 더욱 알차게 하며 지적발달과 정서적 안정, 사회적 적응을 이루어 나간다.
∙ 이와 같이 영유아의 발달은 어느 한 부분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영역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든 영역에 대해 균형 잡힌 발달이 요구된다.
∙ 그 중 운동기술의 발달은 일반적으로 힘,유연성,눈과 손의 협응, 대근육 운동,걷기,달리기,던지기 등의 이동성,소근육 운동과 놀잇감 집기,쓰기,신발끈 매기와 같은 소근육의 통제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모든 영역의 기본 바탕이 되며, 운동기술의 발달은 영유아의 신체발달과 연결된다.
∙ 따라서 이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신체적으로 결함이 없는 영유아라 하더라도 발달적으로 지체를 보이게 된다
1) 영유아기의 일반적인 신체발달의 특징
∙ 발달이란 생명이 시작되는 수정의 순간부터 출생 후 연령의 증가와 함께 일어나는 양적, 질적인 모든 변화과정을 의미한다.
∙ 발달은 누구에게나 다 일어나며, 일정한 순서가 있기 때문에 어떤 발달단계를 건너뛰고는 그 다음 발달단계로 넘어 갈 수 없다.
∙ 그러나 같은 연령의 모든 사람들이 모두 똑같은 발달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발달에 있어 개인차가 나타나는 특성을 보인다.
∙ 영유아기 신체발달의 기본이 되는 운동발달도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정한 순서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영유아기의 운동발달의 원칙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영유아기의 신체 및 운동발달의 원칙 | |
유형 | 설명 |
머리에서 아래로 | 머리에서 발로 발달한다 |
중심에서 말초로 | 척추와 몸의 중심에서 사지로 발달한다 |
미분화된 움직임에서 분화된 움직임으로 |
미분화된 움직임이 더 구체적이고 방향이 있는 움직임으로 발달한다 |
대근육에서 소근육으로 | 큰 근육에서 작은 근육으로 발달한다. |
근육 연관이 최대에서 최소로 |
전체적인 신체 움직임에서 보다 효율적인 움직임으로 발달한다. |
대칭에서 비대칭으로 | 신체 양쪽을 다 사용하는 것에서 한 쪽만 사용하는 것으로 발달한다. |
일정한 순서가 있는 발달 | 속도는 다르지만 순서와 유형은 일정하게 발달한다. |
∙ 아래의 표는 영유아기의 대·소근육 운동성 발달 수준을 정리한 것이다.
∙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운동기술의 발달은 개인의 발달 속도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모든 영유아들의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평균적인 것임을 고려해야 한다.
영유아기 운동성 발달 수준 | |
영역 | 현행수준 |
대근육 | ∙속도를 조절해서 앞으로 달리기를 할 수 있다. ∙방향을 바꿔서 걸을 수 있다. ∙두 발을 모아서 점프할 수 있다. ∙세발자전거를 탈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공을 찰 수 있다. ∙발을 바꿔 가며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다. ∙방향과 목표를 정하지 않고 공을 던질 수 있다. ∙그네 위헤 중심을 잡고 앉을 수 있다. ∙노래에 맞춰 간단한 동작(박수칙, 양 손바닥 한 방향으로 흔들기 등)을 표현 할 수 있다. |
소근육 | ∙크레파스나 연필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직선을 그릴 수 있다. ∙동그라미를 모방하여 그릴 수 있다. ∙6개 이상의 블록으로 탑을 쌓을 수 있다. ∙모방해서 종이를 반으로 접을 수 있다. ∙가위구멍에 손가락을 끼워 움직일 수 있다. ∙2번 정도 연속으로 움직여서 3㎝ 정도의 종이를 오릴 수 있다. ∙문의 손잡이를 돌려서 열 수 있다. ∙지름 2㎝ 정도의 큰 구슬에 나무막대를 끼울 수 있다. ∙와플(십자) 블록을 한 방향으로 끼울 수 있다. ∙풀 뚜껑을 열고 돌려서 풀을 뺄 수 있다. |
2) 장애영유아의 신체 및 운동발달 특성
∙ 대부분의 장애영유아는 발달과제를 습득하지 못하거나 느리게 습득한다.
∙ 발달의 지체를 겪는 영유아가 모두 운동기술의 발달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운동기술 발달의 지체를 보인다.
∙ 그리고 운동기술 발달의 지체는 영유아가 가지고 있는 장애와 연관되어 다른 부분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영유아의 발달은 각 영역이 상호작용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단계에서 장애를 입고 있는가와 장애를 입고 있는 단계에서 적절한 기초를 마련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1) 대근육 운동발달의 지체를 보인다.
∙ 앉기,서기,걷기,뛰기 등의 미숙한 대근육 운동기술 발달로 인해 쉽게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일이 많다.
∙ 그리고 낮은 균형감각 및 협응력으로 인해 대근육 활동을 회피하거나 놀이터에서의 특정 놀이기구 사용에 대해 어려움을 느껴서 놀이터에 나가는 것을 싫어하거나 놀이터에 간다 하더라도 놀이에 참여하기보다는 구경하기를 즐긴다.
(2) 소근육 운동과 협응능력 발달의 지체를 보인다.
∙ 소근육 운동과 협응능력 발달의 지체로 운동화 끈 매기,지퍼 올리기,단추 끼우기 등의 일상생활은 물론 가위질, 쓰기, 그리기, 퍼즐 등의 학습 활동에 어려움을 보인다.
(3) 바른 자세 유지에 어려움을 보인다.
∙ 이들 중 대부분은 W자세(무릎을 끓고 발을 옆으로 뺀 자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인다.
∙ 이러한 자세는 몸의 지지기반을 넓혀주고 몸의 움직임과 에너지 방출을 감소시켜주는 자세이지만 균형 잡힌 엉덩이 근육의 발달을 저해하는 자세이므로 반드시 통제해야 한다.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이들 영유아는 놀이 시 바르게 앉기보다는 바닥에 누워서 활동한다던지 옆 사람이나 벽에 기대고 책상에 엎드리는 행동을 보인다.
(4) 지나치게 근육 긴장도가 높거나 낮은 모습을 보인다.
∙ 근육의 긴장도가 낮은 영유아의 경우 서 있기 위해 무릎에 힘을 중어 관절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안짱다리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 또한 근육의 긴장도가 높을 경우 한 손으로 공을 뛰기는데 다른 손도 공을 튀기는 것처럼 움직일 수 있고, 이때 영유아의 입이나 입술,혀 등 공을 튀기는 데 불필요한 근육들이 함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 또는 어떤 과제를 수행할 경우 손이나 다리를 함께 떠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5) 바보스럽게 행동하거나 의도적으로 부적절한 행동을 보임
∙ 일부 대근육 지체 영유아 중 대근육 과제 수행 중에 자신의 능력 부족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바보스럽게 행동하거나 의도적으로 부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
- 예를 들어,어떤 대근육 활동을 수행하기가 어렵다고 생각이 들면 다른 친구들이 자신이 못하는 것에 대해 비난하고 크게 웃을 것이라 생각하여 일부러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모습을 보인다.
(6) 신체에 대한 여러 가지 결함
∙ 장애영유아들은 신체활동을 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결함을 나타낸다.
∙ 이것은 근육,감각기관,중추신경계 등의 손상이 원인일 수도 있으나, 대개의 경우는 중추신경계가 신체 안팎에서 투입되는 정보들을 의미 있데 해독하고 처리하는 기능들을 통합하지 못함으로써 나타난다고 한다.
(7) 신체운동의 경험 부족
- 장애영유아는 일반영유아에 비해 운동 경험이 부족하다.
- 이러한 경험 부족은 감각이나 지각의 발달, 움직임이나 표현에 대한 지체를 가져오는 요인이 된다.
2. 장애영유아의 운동발달 교수방법
(1) 영유아의 행동에 대한 일상생활 속에서의 운동 발달 관련 행동을 관찰해야 한다.
∙ 급식이나 간식을 잘 먹는지
∙ 음식에 너무 집착하지는 않는지
∙ 잠을 잘 자는지
∙ 움직임이 활발한지 혹은 거의 잘 움직이지 않는지
∙ 사물을 보는 자세나 소리에 반응하는 태도는 어떠한지 등
(2) 이나 활동 속에서 영유아의 신체 움직임이나 운동기능을 관찰하고 파악해야 한다.
∙ 복합 놀이대에 오르기, 운동장에서 달리기 등 대근육 운동기술이 적절히 발달되었는지
∙ 가위로 오리기, 구슬 꿰기 등 소근육 운동 기술이 적절히 발달되었는지
(3) 매일의 시진을 통한 건강 점검과 키와 몸무게 측정 등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 점검 결과를 기록하고,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 문제로 예측될 경우 부모와의 면담을 통해 적극적으로 문제 파악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4) 신체운동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다양하게 마련해 주어야 한다.
∙ 영유아들이 마음껏 움직일 수 있는 실내와 실외 공간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영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는 시설과 교구 등을 준비해야 한다.
∙ 신체 움직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제공된 시설 및 교구의 안전 상태를 반드시 점검 확인한 후 제공하도록 한다.
(5) 신체활동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 하루 일과 중 대근육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최소한 30분 이상 마련해 주도록 한다.
(6) 신체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상호작용을 해 주어야 함
∙ 도전과 숙달을 위한 교사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 움직임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심리적으로 위축된 아이의 경우 교사의 지지와 격려가 매우 큰 힘이 될 수 있다.
(7) 운동 기능 발달에 지연이 있을 경우 지연된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는 활동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개별적으로 지원하도록 한다.
1) 대근육 운동 지도방법
① 영아들의 대근육 운동은 목가누기에서 시작하여 몸 뒤집기→ 무릎으로 기기→ 앉기→서기→ 걷기→ 뛰기 등의 단계로 발전한다.
- 발달이 지체되는 영아의 경우 자발적으로 운동하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뒤집기, 기기, 잡고 걷기 등의 운동을 자주 하도록 부모나 교사 편에서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② 만 1세 정도가 되어서 서서 걷는 것이 자유로워지면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한 운동을 하게 된다.
- 이런 운동은 사지의 힘과 민첩성을 기르고 몸의 균형을 잡아 주는데, 운동 행동을 가르칠 때는 최소한의 도움으로 영아가 자율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그리고 뇌병변장애 영유아의 경우 자세 잡기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서 지도하여야 한다.
대근육 사용 활동 | ||
대근육 발달 기술 | 눈과 발 협응하기 | • 발로 차기 • 기어오르기 • 균형 유지하여 걷기 • 춤추기 • 점프 |
눈과 손 협응하기 | • 잡기 • 공치기 • 도구 사용하기 • 블록 쌓기 • 공굴리기 • 두드리기 • 던지기 |
|
신체 인식하기 | • 터널 속 기어 나오기 • 바퀴달린 장난감 조정하기 • 동물 흉내 내기 • 거울 놀이 |
|
균형잡기 | • 발끝으로 서 있기 • 균형 유지하여 걷기 • 바퀴 달린 장난감 타기 • 타이어나 보도블록 가장자리 걷기 • 균형 유지하여 사물 옮기기 |
자세 잡기의 일반적 원칙과 점검 사항 | |
구분 | 일반적 자세 유지의 원칙과 점검 사항 |
머리의 적절한 지지 | ∙시야확보와 활동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바른 위치를 잡는다. ∙머리를 똑바로 세우고 턱을 약간 밑으로 잡아당기는 듯한 자세가 바람직하다. ∙장애아의 신체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머리 지지대를 사용한다. ∙의자 등판을 연장하여 최대한 스스로 머리를 가눌 수 있게 지원한다. ∙머리 조절능력이 낮은 장애아의 경우에는 감싸듯 받쳐 주는 C형 머리 지지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몸통 및 상지의 안정성 확보 |
∙몸통의 지지와 고개 가눔에 영향을 준다. ∙몸통의 좌우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장애아의 몸통이 양옆으로 기울지 않도록 한다. ∙가슴 또는 어깨에 띠를 두르고 양쪽 어깨를 등받이에 닿도록 펴 준다. ∙어깨, 팔, 손을 자유롭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장애영유아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가 지나치게 굴곡되거나 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고, 손은 손바닥이 위나 아래로 향하게 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손의 옆면이 책상 위에 오게 두는 것이 좋다. |
골반의 안정성 | ∙약간 딱딱한 소재로 만든 의자의 등판과 밑판이 적절하다. ∙엉덩이를 의자의 가장 안쪽에 붙이고 앉을 수 있게 하고 무릎을 굽혀 앉힌다. ∙골반의 위치가 좌우 평형을 이루게 하여 자리에 앉힌다. ∙골반 위쪽(허리 윗부분)에 수건을 대주어 척추가 S곡선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
하지의 적절한 지지 | ∙무릎과 의자 밑판 부분과의 거리가 손가락 한두 개 정도 들어갈 수 있는 것이 적절한 의자의 깊이이다. ∙골반과 대퇴는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목과 다리는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다. ∙장애영유아들이 의자 깊숙이 앉지 않고 후방경사가 지면 다리는 지나치게 뻗치게 되어 신체의 바른 자세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발은 의자나 휠체어의 발바닥 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하고, 아동들의 다리가 안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바깥쪽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발은 고정되어 있어야 과다한 불수의 운동을 줄일 수 있다. |
2) 소근육 운동 지도 방법
∙ 소근육 운동은 몸의 작은 근육의 움직임을 말하는데, 주로 손의 기능과 관계가 많다.
∙ 손으로 쥐기, 쌓기, 잡기, 그리기, 퍼즐 끼우기 등 손과 손가락을 이용한 섬세한 운동인 소근육 운동은 단순히 손의 기능성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보고 판단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 소근육 운동은 주의집중 능력이나 판별력 등 인지와 관계된 능력들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발전해 나간다. ① 학급 내에서 대근육 운동은 거의 정상적이지만, 눈으로 보고 손가락을 움직여서 표현하는 부분은 상당히 수행력이 떨어지는 영유아의 경우 다양한 조작 활동들을 통해 손 기능뿐 아니라 눈,손 협응력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② 부모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눈,손 협응 기술인 글씨 쓰기, 즉 종이와 연필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어깨와 팔꿈치의 큰 근육을 좀 더 자유롭게 사용하는 여러 단계의 칠판 놀이 활동을 먼저 해본다.
- 다양한 위치와 수의 점과 점 잇기, 한 손으로 큰 원 그리기, 양손으로 동시에 원 그리기,세모,네모 등의 간단한 형태 그리기 등등으로 발전시켜 나가는데, 필요한 경우 처음에는 손을 잡아 주는 등의 도움을 주어서 실시한다.
소근육 사용 활동 | ||
소근육 발달 기술 | 눈과 손 협응하기 | • 가위로 종이 자르기 • 선 따라 긋기 • 종이 접기 • 도형 복사하기, 도형판 본뜨기 • 복사하기 • 풀칠하기 • 블록 쌓기 • 색칠하기 • 그리기 • 바느질하기 • 퍼즐 맞추기 • 구슬 꿰기 • 끈으로 묶기 • 물감 칠하기 |
대⋅소근육 발달의 어려움이 있는 장애영유아를 위한 활동 수정 |
• 그림 그릴 다양한 표면을 가진 자료를 제공한다. • 테이블이나 이젤 대신 종이를 벽이나 냉장고 또는 교실 바닥에 붙여 준다. • 무릎을 꿇거나 낮은 의자에 앉았을 때 더 편한 장애영유아의 경우 이젤의 다리를 잘라 높이를 맞춰 준다. • 장애영유아의 손이나 손목에 붓을 묶어 주기 위해 벨크로나 끈을 사용한다. • 손가락이나 발, 다른 신체부위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도록 격려한다. • 퍼즐 조각에는 큰 손잡이를 붙여서 퍼즐을 수정한다. • 청각적 자극이 있는 퍼즐을 제공한다. • 큰 조작놀이 자료부터 장애영유아가 더 능숙하게 되면 작은 자료를 대체해 준다. • 자료가 책상이나 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벨크로를 사용한다. • 실외활동 시 탈 기구를 혼자 타거나 또래가 밀어 줄 수 있도록 한다 |
Q. 영유아기와 아동기란 무엇인가?
- 영유아기는 신생아기(출생-2주), 영아기는 초기 영아기와 후기영아기로 구분된다. 초기 영아는 0~8개월의 영아를, 후기 영아는 9개월~2세 미만의 영아, 유아기는 출생 후~7세의 발달단계로 나누어진다. 아동기는 사람이 태어난 지 만 6세가 된 때로부터 만 12세가 될 때까지의 시기이다.
Q. 영유아기의 일반적인 신체발달의 특성
- 발달이란 생명이 시작되는 수정의 순간부터 출생 후 연령의 중가와 함께 일어나는 양적, 질적인 모든 변화과정을 의미함
- 발달은 누구에게나 다 일어나며, 일정한 순서가 있기 때문에 어떤 발달단계를 건너뛰고는 그 다음 발달단계로 넘어갈 수 없음
- 같은 연령의 모든 사람들이 모두 똑같은 발달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발달에 있어 개인차가 나타나는 특성을 보임
- 영유아기 신체벌달의 기본이 되는 운동발달도 개인마다 차이가 있음
Q. 운동기술이란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고 사물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모든 종류의 학습에 결정적 기반을 제공함 - O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설장애 섭식장애 수면장애의 특성과 중재 방안 및 정서장애아 통합교육 (0) | 2023.05.23 |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및 조현병 특성, 중재방안 (0) | 2023.05.23 |
적응행동(자조기술) 교수방법 및 지도 시 유의사항 (0) | 2023.05.23 |
청각장애의 진단평가와 사정, 교육적 지원과 중재 (0) | 2023.05.22 |
청각장애 정의와 분류, 원인과 출현율, 특성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