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운발달 평가
1) 음운분석의 이론적 근거
ㅇ 음운: 말소리, 말소리의 배열 규칙 혹은 말소리 변화과정을 의미함
ㅇ 초기 연구자들은 말소리에 관심, 점차 오류 유형을 살핌
ㅇ 변별자질이나 음운 규칙, 또는 음운변동 패턴 등을 이용하여 오류유형을 분석함
ㅇ 연구 결과 공통된 음운 변동들을 나타냄
2) 우리말의 음운오류 평가
ㅇ 생략 및 첨가 음운변동
- 음절구조에 따라서 음절생략, 초성생략, 종성생략, 첨가
ㅁ 음절생략 : /장난깜/->/난깜/
ㅁ 초성생략: 단어나 음절의 첫 자음 생략 /사탕/->/아탕/
ㅁ 종성생략: 단어나 음절의 받침소리 생략 /풍선/->/푸선/
ㅁ 첨가: 소리 첨가 /오뚜기/->/코뚜기/
- 조음방법에 따라서 마찰-폐찰음 생략, 폐쇄음 생략, 비음 생략, 유음 생략
ㅁ 마찰-폐찰음(ㅅ,ㅆ) 생략 : /썰매/->/얼매/
ㅁ 폐쇄음 생략 : /김밥/->/임밥/
ㅁ 비음(ㅇ,ㄴ,ㅁ) 생략 : /단추/->/다추/
ㅁ 유음 생략(ㄹ) : /라디오/->/아디오/
- 조음위치에 따라서 양순음 생략, 치조음 생략, 경구개음 생략, 연구개음 생략, 성문음 생략
ㅁ 양순음 생략 :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소리 생략 /김밥/->/김바/
ㅁ 치조음 생략 : 이빨에서 만들어지는 소리 생략 /장난깜/->/장나깜/
ㅁ 경구개음(ㅈ,ㅊ) 생략 : 입 천장에 단단한 부분에서 만들어지는 소리 /깡충/->/깡옹/
ㅁ 연구개음(ㄱ,ㅇ) 생략: 입 천장에 부드러운 부분에서 만들어지는 소리 /깡총/->/까초/
ㅁ 성문음 생략 : 후두에서 나오는 소리 /하마/->/아마/
ㅇ 대치 음운 변동
- 조음위치에 따라서 전설음화, 후설음화, 양순음화, 치조음화, 경구개음화, 연구개음화, 성문음화
ㅁ 전설음화
> 목표음 조율점보다 혀를 압쪽으로
> 경구개음이 치조음으로 /짝자꿍/->/딱따꿍/
> 여린 입천장음이 치조음 or 경구개음을오 /자동차/->/다돈차/
> 성문음이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으로
ㅁ 후설음화
> 목표음의 조음점보다 혀를 뒤쪽으로
> 치조음이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책상/->/핻상/
ㅁ 양순음화 : 다른 음소가 양순음으로 /장난깜/->/방난깜/
ㅁ 치조음화: 다른 음소가 치조음으로 /호랑이/->/호란이/
ㅁ 경구개음화: 다른 음소가 경구개음으로 /토끼/->/초끼/
ㅁ 연구개음화: 다른 음소가 연구개음으로 /김밥/->/김방/
ㅁ 성문음화: 다른 음소가 성문음으로 /모자/->/모하/
- 조음방법에 따라서 폐쇄음화, 마찰음화, 유음화, 비음화
ㅁ 폐쇄음화: 폐쇄음이 아닌 음소가 폐쇄음으로 /모자/->/모다/
ㅁ 마찰음화: 마찰음이 아닌 음소가 마찰음으로 /책상/->/색상/
ㅁ 폐찰음화: 폐찰음이 아닌 음소가 폐찰음으로 /눈썹/->/눈첩/
ㅁ 유음화: 유음이 아닌 음소가 유음으로 /오뚜기/->/오뚜리/
ㅁ 비음화: 비음이 아닌 음소가 비음으로 /로보트/->/로모트/
- 동화에 의한 변동
- 조음위치에 따른 동화
ㅁ 양순음 동화 /연필/->/염필/
ㅁ 치조음 동화 /자동차/->/자던차/
ㅁ 굳은 입천장음 동화 /자동차/->/자종차/
ㅁ 여린 입천장음 동화 /풍선/->/풍껀/
ㅁ 성문음 동화 / 호랑이/->/호랑히/
- 조음방법에 따른 동화
ㅁ 폐쇄음 동화 /짝짜꿍/->/따따꿍/
ㅁ 마찰음 동화 /책상/->/색상/
ㅁ 폐찰음 동화 /자동차/->/자종차/
ㅁ 비음 동화 /못/->/몬/
ㅁ 기식음 동화 /깡총/>/캉총/
ㅁ 긴장음 동화 /장난깜/->/깜난깜/
- 긴장도 및 기식도에 따른 변동
ㅁ 이완음화: 긴장음의 긴장성 상실 /땅콩/->/강콩/
ㅁ 긴장음화: 긴장음이 아닌 음소에 긴장성 첨가 /김밥/->/김빠/
ㅁ 기식음화: 기식음이 아닌 음소에 기식성 첨가 /나무/->/파무/
ㅁ 탈기식음화: 기식음의 기식성 살실 /책상/->/내상/
3) 한국 일반아동 및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변동 특성
ㅇ 우리나라 아동의 음운변동 특성(김영태 외, 1992 등)
2-6세 아동(서울 경상도 지역) 40~50명 | |
생략-첨가 변동 | 종성, 유음, 비음, 연구개음. 성문음 ㅅ ㅐㅇ략변동 가장 많이 |
대치변동 | 전설음화, 후설음화, 폐쇄음화, 치조음화, 폐쇄음동화 등 ㄱ아장 많이 |
지역 차이 | 서울지역 아동보다 경상도 지역 아동에게 이완음화 많이 출현 |
ㅇ 일반 아동과 조음 장애 아동 비교(김영태, 1995)
생략, 긴장도, 모음 측면 | 장애정도가 심해질수록 출현율 현저하게 증가 |
조음방법, 위치, 기식도 측면 | 1/2정도만 장애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 |
동화 | 장애전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 없었음 |
ㅇ 조음장애 집단에서 음운 변동 간 상관관계
생략음운 변동 군 | 마찰음 생략 - 성문음 생략 - 초성 생략 비음 생략 - 연구개음 생략 - 중성 생략 유음 생략 - 치조음 생략 |
대치음운 변동 군 | 구개음화 - 파찰음화 - 구개음동화 - 파찰음동화 - 치조음후설음화 유음화 - 구개음동화 |
동화 | 폐쇄음화 - 폐쇄음동화 양순음화 - 양순음동화 비음화 - 비음동화 연구개음화 - 연구개음동화 기식음화 - 기식음동화 |
- 마찰음 중 성문음/ㅎ/, 비음 중 연구개임/ㅇ/: 가장 생략되기 시움
- 양순음, 폐쇄음, 비음, 연구개음, 기식음 등: 동화 유발이 쉬운 음소
- 성문음, 마찰음, 긴장음: 동화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 변동
ㅇ 조음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의 성별 차
- 조음장애 집단 : 성별차이 없음
- 일반 집단: 여아보다 남아가 모음 변이 1개 변동에서만 차이가 있었음
ㅇ 일반집단에서는 흔히 보이고, 조음 장애 집단에서는 더욱 더 많이 유의차를 보이는 변동
종성생략 | 14%-71% | 경구개음의 전설음화 | 10:19 |
비음 생략 | 9:47 | 치조음화 | 10:17 |
유음 생략 | 10:38 | 이완음화 | 10:29 |
연구개음 생략 | 11:48 | 모음변이 | 7:23 |
연구개음의 전설음화 | 9:14 | 15% 정도 이상 나타나면 중재 필요 |
ㅇ 일반 아동은 별로 보이지 않음, 조음장애 집단에는 많이 보이는 변동
- 탈기식음화, 폐쇄음생략, 양순음생략, 치조음생략, 성문음-전설음화, 긴장음화
- 일탈적인 변동이 10% 정도 나타나면 치료 필요
ㅇ 조음장애 집단에서도 자주 보이지 않고, 일반아동 집단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 변동
- 음절 감소, 경구개음생략, 경구개음-후설음화, 성문음화, 마찰음화, 유음화, 비음화, 연구개음동화, 비음동화 등
- 조음장애 특유의 음운 변동으 1% 이상만 나타나도 중재가 고려되어야 함
ㅇ 음운 능력 발달에 관여하는 요인들
- 청각 및 지각 능력<- 청각 장애 / 인지적 능력 <- 지적장애 / 음운적 능력 / 신경운동능력
ㅇ 청각장애 음운 변동
- Oller&Kelly(1974)
> 중도의 감각신경성 청각장애인 6세 영아 대상
> 동일 연령의 일반아동에 비하여 더 많은 대치변동
> 전반적으로 모든 자음을 전설음화 하는 경향
- Dodd(1976)
> 9~12세 심도 청각장애아동 10명 대상
> 청각장애아동들은 거의 정상적인 자음 목록 산출 -> 17가지 음운규칙 중 자음군 축약 등 두드러짐
- Meline(1997)
> 5~12세 중등도~최중도 청각장애아동 19명
> 종성생략과 자음군 축약 두드러짐
- 청각장애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음운변동을 더 많은 빈도로 사용하는 규칙은 유사
ㅇ 지적장애 아동의 음운 발달
- Schlanger와 Gottsleben(1957) 516명 대상 -> 95% 조음 장애
- Lenneberge 등(1964) 54명 다운증후군 아동 -> 조음 기술이 떨어졌음
- Dodd(1976)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 비교
-> 다운 아동이 더 많은 오류를 보였고, 자음군 생략, 후설음화(치조음의 연구개음화), 초성 /h/의 생략, 마찰음과 파찰음의 생략 또는 대치 많음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별화가족지원계획(IFSP) 목적과 원리, 과정 및 구성요소 (0) | 2023.05.13 |
---|---|
개별화교육계획(IEP) 의미, 구성요소 및 기능 / 수립.운영절차 / 수립과 실행 (0) | 2023.05.13 |
행동주의 이론 (0) | 2023.05.13 |
언어발달장애 역동적 상호작용적 평가 (1) | 2023.05.13 |
특수아 형제자매 지원프로그램의 실제 (0) | 202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