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언어발달장애 역동적 상호작용적 평가

by 단단이다 2023. 5. 13.
728x90

1. 역동적 상호작용적 평가
1) 역동적 상호작용적 언어평가의 이론적 근거
ㅇ 전통적 평가방법(발달단계 중시, 보편성 기초, 상호작용 배제)의 제한점 보완
 - 행동 분류하고 정리하는 수단
 - 단계모델은 순차적 발달, 순서는 불변한다 전제,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음
 - 검사도구의 일상생활 문맥 반영이 힘든 단순성 때문에 사회적 타당도가 떨어짐
 - 사회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양육자 포함, 가정문화적 배경, 경제사회적 지위, 가족의 신앙이나 신념 등을 고려해야 함
 ㅇ 역동적 상호작용적 평가 모델 특징
 - 아동 환경 중시
 - 문맥을 중요 변인으로
 - 전체적인 능력 중요시
 - 언어영역 간 상호작용적 측면평가
 ㅇ 역동적 상호작용적 평가가 언어평가에 시사하는 점
 - 문맥 중시 : 자유놀이 상황에서 너무 구조화되지 않아야 함 / 다양한 문맥이 적용됨
 - 초기 습득기 언어이해력 평가 시 평가조건 고려 : 다양한 문맥에서 평가되어야 함
 < 2세 이전 아동들이 평가상황에서 사용하는 언어이해전략 >

연령(개월)언어이해력언어이해전략
9-12예상되는 문맥 속에서 몇몇 낱말을 이해1. 성인이 쳐다보는 사물을 쳐다본다.
2 주목받는 사물을 작동시킨다.
3. 진행되고 있는 행동을 모방한다.12
12-18익숙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몇몇 낱말을 이해하지만 아직도 현재 일어나고 있는 문맥에 의존함1. 언급된 사물에 주목한다.
2. 주목하고 있다는 증거를 보인다.
3. 일반적인 행동으로 수행한다.
18-24예축하기 어려운 문맥에서 단일어를 이해할 수 있음
두 낱말 조합도 일부 이해함
언급된 사물을 놓거나 집어넣는다.
언급된 대로 사물을 조작한다.

 - 언어표현력 평가에도 다양한 문맥 활용
  > 최소한의 지원~ 최대한 지원 시 표현력 평가
  > 6가지 유형의 문맥(Coggins, 1991)
   a. 활동이나 상호작용의 목적: 자연스러운 문맥~구조적인 문맥
   b. 상대방과의 친숙도: 낯선 상대방~ 친숙한 상대방
   c. 제시물의 특성: 새로운 제시물~ 친숙한 or 주제가 있는 제시물
   d. 활동의 친숙도: 새로운 활동~ 일상적인 활동
   e. 청자의 반응: 즉각적인 반응 보이는 문맥 ~ 지연된 반응 보이는 문맥
   f. 단서나 촉진의 제공 정도: 일반적인 발화~ 유도발화
 - 임상가 훈련 필요
  > 역동적 평가는 학습 잠재력이 대한 정보,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달 또는 기능을 촉진한 요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 검사-단기학습-검사의 과정을 거침-> 일상가의 훈련을 해야만 아동이 실패했을 때 단서,촉진,지시,피드백 제공 후 다시 평가함
 - 정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 촉진, 단서수준에 따라 학습 잠재력 예언 
  > 적은 단서는 즉각적인 학습 잠재력 확인 가능
  > 여러 단서나 촉진은 성인의 중재로 습득할 수 있는 잠재력 확인 가능
  > 단서를 줘도 정반응이 나오지 않을 경우, 오랜 중재가 필요하겠다는 것을 의미
2) 역동적 상호작용적 평가모델에 근거한 언어평가
 ㅇ 취학 전 아동을 윟안 기능적 의사소통행동 목록(PECI)
   - Olswang(1996) 개발
   - 의사소통 기술을 의미 있고 일반적 경험과 환경 내에서 수집하는 기능적 평가 고안-> 자연스러운 환경 내, 독립적이고 효과적인 메시지를 주고받는 능력을 측정
   - PECI의 평가목록은 6가지 요소와 관련됨
   > 행동은 일상생활과 관련
   > 자극은 조작적으로 정의
   > 자연스러운 문맥에서 측정
   > 결과는 다양한 연령대, 장애 고려하여 기술
   > 내용은 성, 사회경제적 지위, 문화 등에 민감하게 반응
   > 평가 목록은 쉽게 해석되고 이해
  - 평가의 영역
   > 사회적 의사소통
   > 기본욕구에 관한 의사소통
   > 인지적인 놀이-기본 개념
   > 매일의 일상생활 영역에서 수행수준 평가
  - 평가 방법
   > 독립성을 7점 척도로 점수화
   > 아동의 의사소통 수행능력의 질적인 평가
     - 의사소통 능력이 메시지 전달에 충분한가?
     - 상황에 적절하게 전달하는가?
     - 적절한 시간 내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가?
     - 사회적 상호작용 시에 반응을 하는가?
 ㅇ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척도(CSBS) 
   - 초기 의사소통 발달 평가
   - 생후 2년 동안 아동이 매일 사용하는 의사소통과 관련된 내용 평가
   - 주로 의사소통 행동, 사회적 행동, 놀이 행동 등 평가
   -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을 3가지 방법으로 관찰
    > 일상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의사소통 하는지 질문지를 통해 평가
    > 자연스런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편안하고 덜 구조화된 놀이 활동에서 평가
    > 평가자는 바람직한 행동을 끌어내기 위하여 구조화된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
   - 각 영역에서 나온 결과는 백분위 점수로 변환
   - 의사소통과 상징놀이 영역의 강점에 대한 정보 제공, 발달 영역 간이나 영역 내 상호작용 정보를 제공, 중재의 목표와 영역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줌
 ㅇ 유아 및 아동을 위한 평가, 진단, 훈련체계(AEPS)
 - 1~36개월 아동들의 기능 평가
 -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는 동안 아동을 관찰하는 방법
 - 반응을 유도하기도 하고, 양육자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평가함
 - 6가지 하위발달 영역
   > 사회적 발달 / 적응적 발달 / 소근육 발달/ 인지적 발달 / 대근육 발달 / 사회,의사소통 발달
 - 각 영역 내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순서 결정
 - 수행하지 않는 평가목표는 중재의 내용이 됨
3) ZPD에 근거한 언어평가
 ㅇ 발달잠재영역(학습잠재력, ZPD)
 - 비고츠키에 의해 제안된 개념
 - 아동이 기능한느 발달수준과 도움을 받아 최대한 나타내는 발달 수준과 차이
 -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능력 및 발달잠재력 평가
 ㅇ 발달잠재영역을 평가할 때의 유의점(Wertsh, 1984)
  - 발달잠재영역 안에서의 교수, 학습 활동은?
  - 적극적이고 의도적인 협조로 이루어져야 함
  - 발달잠재영역에서의 활동은 잘 결합된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야 함
    > 아동이 가질 미래의 기술 혹은 지식을 향한 것이어야 함
    > 아동의 흥미와 기술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ㅇ 언어학습 잠재력의 평가요소
  - 초기과제평가
   * 초기훈련과제: 아동의 현재 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 즉 학습해야 할 언어행동을 검사하는 과제
  - 관련과제평가
   * 관련과제: 초기과제로 관련된 항동으로 이루어진 것
   * 아동이 학습 후 전이 혹은 일반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 친숙도, 난이도, 복잡성이 다른 비훈련 항목을 포함함
  - 과제의 단기학습 : 성공항목- 강화 제공 / 실패항목- 위계적 단서 제공
  - 단기학습 후 재검사 : 촉진 혹은 단서를 제공하였을 때(발달잠재영역) 과제에 대한 아동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재검사 실시
<낱말 조합 발화를 위한 역동적 평가 프로토콜>

촉진설명예제
일반적인 표현성인은 아동의 주의를 상황적 문맥과 관련된 사물이나 행동으로 유도하기 위해 일상적인 표현을 한다. 즉, 아동의 주의를 끌어 자발적으로 의미조합을 할 기회를 제공"어! 이거 보세요"
유도질문성인은 사물이나 행동과 관련된 질문을 한다"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어?"
걸업충하기나 문장완성하기 요구성인은 문맥과 관련된 사물을 제시하면서 의미조합을 강조하고, 성인의 말이 부분적인 단서가 되게 한다. 그리고 WH 질문을 하거나 문장 앞만 말해주고 뒤는 남겨놓아 아동이 문장을 끝내도록 한다."여기 보세요. 강아지가 있네 (강아지를 앉히면서) 여기 강아지가 ____"
간접 시범성인은 목표 어휘들을 조합시키는 발화를 하면서 확대되거나 지연된 시범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시범 후에는 유도질문이나 서술과 같은 발화를 한다"저 강아지를 보세요. 강아지가 걷고 있네요"
"강아지가 상 위에서 걷는 것 좀 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거야?"
직접 시범 및 유도질문성인이 목표의미조합을 직접 시범 보인 후, 아동의 자발적인 즉각모방을 기다리며 잠시 기다린다. 반응이 없으면 다시 말해주며 따라해보라고 요구한다."강아지가 걷네"
"강아지가 걷는다고 말해봐~"
단계적 형성성인이 의미조합을 직접 시범 보인 후, 유도질문을 해ㅒㅆ을 때 아동이 그 중 한 낱말을 말하면, 의지조합에서 다른 부분을 시범보이고 따라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는 전체 의미조합을 시범 보인다."그래, 강아지네~ 강아지라고 해봐요"
"걸어간다라고 해봐요"
" 강아지가 걸어간다라고 해봐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