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언어발달장애 기능적 언어치료 접근법 언어기의 언어중재 기본원칙

by 단단이다 2023. 5. 31.
728x90

1. 언어기의 언어중재

1) 기능적 언어중재의 기본 원칙

(1) 자연스런 강화 원칙

  ① 물질적 강화, 사회적 강화, 활동적 강화 등
  ② 고정비율 혹은 변동 비율
  ③ 자연스런 상황에서 문맥과 이어지게 사용하도록 권고

(2) 정상발달을 고려한 중재계획

  ① Owense(1995)의 원칙
  ⦁ 언어는 비구어적 의사소통부터 발전
  ⦁ 사회적, 인지적 기초 능력을 바르게 사용하여야 함
  ⦁ 간단한 법칙을 복잡한 법칙 이전에 습득
  ⦁ 언어영역에 따라 발달 형태가 다름
  ⦁ 언어발달단계에 따라 아동 행동 및 학습 양상이 다름
  ② 첫 낱말 단계 아동의 지도 목표문장 선택 시 유의점
  ⦁ 생활환경에서 많이 들을 수 있고 또래아동들이 많이 사용하는 고빈도 어휘 선택
  ⦁ 어휘발달문헌을 참고, 직접 만지거나 조작해 볼 수 있는 사물(감각적으로 두드러진 사물의 이름, 가족의 호칭,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어휘 등)을 먼저 훈련
  ⦁ 사물간의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내거나 심리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위치어, 관형어, 상태어는 아동이 인지적으로 그 관계를 먼저 이해했는지 확인하고 훈련
  ▶ 3세 아동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어휘

명사 엄마, 아빠, 형아, 아가, 언니, 할머니, 아저씨,오빠, 가방, 멍멍이, 고기, 포도, 밥, 꼬리, 고양이, 호랑이, 문, 돌멩이, 배, 물, 못, 우유, 버스, 칼, 차, 총, 집, 비행기, 손, 발, 토끼, 택시, 비, 로봇, 그네
동사 가, 앉아, 닦아, 나가, 꺼내, 날아가, 넣어, 놀아, 내려와, 넘어져, 만들어, 버려, 고쳐, 울어, 뽀뽀해, 신어, 사, 들어, 타, 내려, 해, 물어, 다쳐, 죽어, 잡아, 떨어져, 먹어, 입어, 봐, ~와, 줘, 가져
형용사 있다, 없다, 아니야, 크다, 쪼그맣다, 싫어, 예쁘다, 재미있다, 같다, 무겁다, 빠르다, 깜깜하다

⦁ 의미관계 및 형태소 발달 고려
- 의미관계 고려: 문헌에 제시된 고빈도 의미관계를 치료목표 설정 시 활용

▶ 고빈도 2~3낱말 의미관계

두 낱말 의미관계 예문 확장된 두 낱말 의미관계 예문
①행위자-장소  엄마 의자    
②소유자-소유  할머니 집    
③행위자-목적 은주 까까 ①행위자-수여자-목적 엄마(가) 나 줘
④목적-행위  까까줘 ①행위자-목적-행위 아빠 테레비 본다
②장소-목적-행위 집(에) 호떡 가져갈까
⑤실체-수식  아가 예뻐    
⑥공존자-행위 엄마도 가   ①행위자-공존자-행위 엄마 나 (같이) 가
②공존자-목적-행위 애기(하고) 호미 찾자
③공존자-장소-행위 애기(하고) 집(에) 가자
⑦행위자-행위  아가 울어    
⑧장소-행위  거기 앉아 ①행위자-장소-행위 아빠 회사 갔어
⑨실체-서술  이거 구두    
⑩수여자-행위  나 줘    
⑪도구-행위  가위(로)잘라    

▶ 2~3세 아동들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2-4낱말 의미관계

두낱말 의미관계 확장된 두낱말 의미관계 확장된 세낱말 의미관계
①실체-서술  ①실체-배경-서술 ①행위자-배경-대상-행위
②대상-행위  ②대상-배경-행위 ②행위자-대상-용언수식-행위
③배경-행위 ③행위자-대상-행위 ③체언수식-대상-배경-행위
④배경-서술  ④행위자-배경-행위 ④소유자-실체-배경-서술
⑤행위자-행위 ⑤대상-용언수식-행위 ⑤배경-실체-용언수식-서술
⑥용언수식-행위 ⑥행위자-용언수식-행위 ⑥실체-배경-배경-서술
⑦소유자-실체  ⑦경험자-배경-서술 ⑦소유자-행위자-배경-행위
⑧경험자-서술  ⑧소유자-실체-서술  ⑧기타
⑨소유자-서술 ⑨체언수식-대상-행위  
⑩체언수식-실체  ⑩공존자-대상-행위  
⑪용언수식-서술  ⑪기타  
⑫공존자-행위    
⑬배경-실체    
⑭체언수식-서술    
⑮배경-행위자    
형태소 발달 고려 ⦁조사, 문장어미, 시제 등을 나타내는 문법 형태소 발달 고려
⦁의문사를 사용한 질문을 이용하여 조사 및 형태소를 유도
⦁시제를 나타내는 형태소는 과거, 현재, 미래 개념 정립 확인
⦁지체 아동에게 시제 지도 시 실제 상황에 맞도록 상황을 조절
⦁문장습득속도가 느린 아동에게 문법적인 완벽함을 요구X

▶ 문법형태소의 출현 순위

출현순위 문법형태소
1 문장어미 아, 라, 자동
2 공존격 조사 랑, 하고, 도, 같이
3 장소격 조사 목표격 에, 한테, 으(에)로
처소격
4 과거시제
5 미래시제
6 주격 조사
7 진행시제 ㄴ, ㄴ다
8 수동 이, 히
9 주격 조사
10 목적격 조사 을, 를
11 도구격 조사
그 외

한정격 조사 도, 만
수여격 조사 에게, 한테
의문사  목표반응
누구랑?
누가?
어디?
무엇으로?
무얼?
누구한테?
공존격 조사
주격 조사
처소격 조사
도구격 조사
목적격 조사
수여격 조사

(3) 아동 주도의 의사소통 행동

① 일반화가 훨씬 수월
② 아동의 주도적인 행동은 훈련 교재의 선택, 대화의 시도 등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

(4) 맥락의 활용

① 비구어적 맥락
⦁ 주고-받기 및 물건 요구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지시 따르기 및 지시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정보요청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정보제공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도움요청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저항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a. 주고-받기 및 물건 요구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두 아동이 함께 하는 활동(예: 거울 보며 머리 빗기)에 필요한 도구(예: 빗)를 한 개만 준비해 놓을 수 있음
  b. 지시 따르기 및 지시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종이컵에 구멍을 뚫고 흙을 담아 씨를 뿌리는 활동을 하면서, 처음엔 언어치료사의 지시에 따르고, 두 번째는 아동의 지시에 따라 언어치료사가 시행함
  c. 정보 요청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흥미롭게 생긴 물건이나 그림을 아동 앞에 보여주되, 아동이 질문할 때까지는 그것이 무엇인지 말하지 않음
  d. 정보 제공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아동이 만든 찰흙이나 그림에 대하여 언어치료사가 궁금한 태도를 취하거나 질문함으로써 설명하게 함
  e. 도움 요청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아동이 하기 어려운 물리적인 일을 요청하게 유도함 (예: 색종이를 붙이기 위해서 풀 뚜껑 열기)
  f. 저항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 아동에게 불가능한 것을 요구함(예: 플라스틱 칼로 과일을 깎으라고 함)
② 구어적 맥락
  ⦁ 시범
  - 아동의 모방을 요구하는 시범, 요구하지 않는 시범
  - 혼잣말 기법 (언어치료사나 부모가 자신의 입장에서 말하는 것을 들려주는 것)
  - 평행적 발화 기법 (아동이 말할 만한 문장을 아동의 입장에서 말해주는 것)
  ⦁ 직접적인 구어적 단서

질문 • 단답형, 선택형, 개방 또는 과정형 질문
• 훈련자가 시작한 문장에 목표 낱말 or 구를 삽입시켜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
대치요청 • 아동의 말에서 목표가 되는 언어를 유도하는 방법
• 목표 낱말이나 문장이 표현될 때까지 아동의 말을 고쳐 나가도록 유도
선반응요구-후시범 방법 • 목표 언어를 시범 보이기 전에 아동이 자발적으로 반응할 기회를 요구한 후 시범을 보이는 방법

⦁ 간접적인 구어적 단서
▶ 아동의 반응을 요구하는 것

수정모델 후 재시도 요청하기 아동이 잘못 말한 부분이나 전체 문장을 수정한 상태로 다시 말해주고 나서 아동이 다시 말하도록 요청하는 방법인데, 이때 아동에게 다시 말하도록 하는 것은 아동의 반응이나 대화의 흐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오류반복 후 재시도 요청하기 아동이 잘못 말한 부분이나 문장을 그대로 반복한 후 아동에게 다시 말하도록 요청하는 방법
자기 교정 요청하기 언어치료사가 아동의 말을 되묻거나 맞는지를 물음으로써 아동이 자신의 말을 스스로 교정하도록 하는 방법
이해하지 못했음을 표현하기 아동의 말을 못 알아들었다고 말하든가 “응?”, “어?”와 같이 말함으로써 아동이 다시 또는 수정하여 말하도록 함 / 자기교정요청하기 보다는 다소 자연스러움
확장요청하기 아동에게 완성된 구나 문장을 말하도록 요청하는
반복요청하기 아동이 바르게 말했을 경우에 다시 반복하도록 하여 강화하는 방법
주제확대하기 아동이 말을 알아들었다는 표시를 해주고 나서 아동에게 좀더 이야기 하도록 요청하는 것으로, 반복요청보다 좀 더 자연스러움

▶ 아동의 반응을 요구하지 않는 것

아동의 요구 들어주기 아동이 요구한 사물을 집어주거나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아동에게 그의 메시지가 전달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
이해했음을 표현하기 아동이 한 말에 대해 고개를 끄덕이거나 “응”, “그래”, “그렇지”, “그랬어?”와 같은 말을 해줌으로써 아동의 말을 이해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
모방 아동의 말을 그대로 모방함으로써 아동에게 자신의 말이 전달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
특히, 아동이 목표언어를 바르게 사용하였을 때 “맞아”나 “그래” 등의 긍정적 표현과 함께 아동의 말을 모방해주면 매우 효과적임
확장 아동의 문장구조는 유지한 채, 문법적으로 바르게 고쳐서 다시 들려주는 것. 예를 들어, 아동이 “누나”라고 했을 때 “누나가”라고 문법적인 확장을 해줄 수 있음. 확장에는 구를 문장의 형태로 완성시켜서 다시 말해주는 문장완성방법과 문장의 형태나 기능을 바꾸어서 말해주는 문장변형방법이 있음
확대 아동의 발화주제는 유지한 채, 정보를 더 첨가하여 들려주는 것.  예를 들어, 아동이 “공”이라고 했을 때 “큰 공”이나 “축구공”이라고 어휘를 확대할 수 있음
분리 및 합성 아동의 발화를 구문의 작은 단위들로 쪼개서 말했다가 다시 합쳐서 들려주는 것. 예를 들어, 아동이 “형이 유리로 발을 찔렸어”라고 하면 “형이 찔렸구나”, “유리에 찔렸구나”, “(저런) 발이 찔렸구나”와 같이 작은 단위의 문장으로 쪼개서 말하고 나서 “형이 유리에 발이 찔렸구나”라고 합쳐서 말해줌
문장의 재구성 아동 문장의 뜻은 유지한 채, 문장의 형태를 재구성해서 들려줌. 예를 들어, “미영이가 민이를 찼어”라는 말에 대하여 “민이가 미영이한테 맞았어?”라고 새 형태의 문장을 말해줌

 

Q. 간접적인 구어적 단서란 무엇인가?

 - 간접적인 구어적 단서란 아동의 반응을 요구하는 것과 아동의 반응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Q. 구어적 맥락 중 간접적인 구어적 단서

 - 수정모델 후 재시도 요청하기

 - 자기교정 요청하기

 - 확장요청하기

 

Q. 주고-받기 및 물건 요구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지시 따르기 및 지시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은 구어적 맥락이다. - X

  > 주고-받기 및 물건 요구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지시 따르기 및 지시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정보요청하기 기능을 위한 맥락 등은 비구어적 맥락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