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언어이전기의 기능적 언어중재
1) 언어이전기의 기능적 언어중재
- 일반적인 의사소통 규칙의 인식과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 등에 초점을 맞추어 중재함
① 함께 주목하기(joint attention)
⦁ 두 사람이 같은 물체를 바라본다거나 같은 주제를 생각할 수 있어야 대화가 가능
⦁ 다른 사람이 주목하고 있는 물체나 활동에 아동이 관심을 갖고 주목하도록
② 공통적인 활동하기(joint action)
⦁ 아동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을 때 성인이 활동에 개입
- 아동이 성인의 개입을 좋아하면 성인주도, 다른 활동을 같이
③ 선행행동에 대한 연계반응(contingent responding) 인식시키기
⦁ 아동의 행동에서 의사소통 의도가 보일 때 성인은 즉시 반응
⦁ 이러한 성인의 즉각적인 반응은 아동 자신의 행동이 환경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줌
④ 지칭하기(naming)
⦁ 성인은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활동을 과장되게 보여 주거나 물건이나 활동을 가리키거나 명명하는 것이 효과적임
⑤ 사회성 게임하기(social gaming)
⦁ 상호작용을 위해서 아동과 부모가 일상적으로 하는 게임을 의미 (예, ‘짝짜꿍’, ‘까꿍’ 등)
⑥ 인지적 도식 확대시키기 (scaffolding for cognitive schemes)
⦁ 아동의 무분별한 도식들을 좀 더 분별적인 행동으로 확대시켜 나가며 분별적인 행동은 좀 더 다양하게 확대시켜 나감
⦁ 분별적인 행동이란 물체가 만들어진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행동을 의미함
⦁ 분별적인 행동들이 일관성 있게 나타나면 → 기능놀이, 가상놀이로
⑦ 의사소통 수단 확대시키기(scaffolding for communication)
⦁ 아동의 비의도적인 행동이나 말을 의사소통 수단으로 바꾸어 줌
⦁ 아동의 초보적인 의사소통 행동을 좀 더 바람직한 행동으로 바꾸어 줌
⦁ 아동이 관습적인 행동을 보이면 그것에 언어를 첨가시켜 줌
⦁ 아동이 낱말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적절한 수용 및 표현 어휘를 늘려줌
⦁ 단일어 어휘를 충분히 습득하면 단일어를 연결하여 2-3낱말 문장 유도하고 문장을 만들기 시작하면 다소 긴 문장으로 확대
⑧ 아동 모방하기(imitating child's vocalization or verbalization)
⦁ 아동이 우연히 낸 소리를 모방
- 아동이 소리 또는 발성이 성인의 관심을 끈다는 것을 알게 함
⑨ 의사소통의 차례규칙 지키기(turn-taking) 및 기다렸다 신호 보내기
⦁ 교대로 활동
- 소리나 말을 하면서 차례지키기 유도
⑩ 초기 의사소통 기능 확립하기
⦁ 우선 유도하기 쉬운 도구적 기능과 조정적 기능부터 훈련
2) Evaluating Acquired Skills in Communication(EASIC)
(1) 언어이전 단계(Pro-Language Level)
< 감각자극 >
1. 주위소리에 반응하기 (준비물: 종 )
- 검사자는 책상 아래에서 종소리를 낸다. 아동의 반응을 관찰한다.
- ( ) 반응하지 않는다.
- ( ) 눈을 깜박이거나 놀란 듯한 반응을 보인다.
- ( ) 하던 행동을 멈춘다.
- ( ) 얼굴 표정이 바뀐다.
- ( ) 소리나는 곳으로 얼굴을 향한다.
- ( ) 종을 잡으려 한다.
- ( ) 기타
2. 말소리에 반응하기
⦁ 아동이 이름 부르는 것과 말소리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본다.
- ( ) 반응하지 않는다.
- ( ) 고개를 돌리거나 나는 쪽으로 시선을 옮긴다.
- ( ) 자기 이름이 불린 것에 반응한다.
- ( ) 웃거나, 소리나는 쪽으로 손을 뻗거나, 몸짓을 한다.
- ( ) 기타
3. 주어진 물체 쳐다보기 (준비물: 밝은색 장난감. 예: 딸랑이,공)
⦁ 책상 위에 밝은색 장난감을 놓는다. 그러나 아동 바로 앞에 놓지는 말도록 한다.
⦁ 아동이 그 물체를 보지 않을 때는, 아동과 시선을 맞추고 나서 검사자가 시선을 맞추고 나서 검사자가 시선을 그 물체로 유도한다.
⦁ 물체를 손으로 가리키거나, 그쪽 방향으로 아동의 고개를 돌려주거나, 아동의 시야에 물체를 놓는다.
- ( ) 반응하지 않는다.
- ( ) 장난감에 시선을 고정한다.
- ( ) 검사자가 이끄는 데로 시선을 따른다.
4. 시각적 자극에 반응하기 (쳐다보고 시선으로 쫓기) (준비물: 상동)
- ( ) 물체를 주며 시선을 쫓는다.
- ( ) 장난감을 손으로 잡는다.
- ( ) 장난감을 수평으로 움직이면 그것을 시선으로 쫓는다.
- ( ) 장난감을 수직으로 움직이면 그것을 시선으로 쫓는다.
- ( ) 책상 밑으로 물체를 떨어뜨리면 그것을 찾으려 한다.
- ( ) 주어진 물체에 부적절한 행동을 보인다. (무시하거나 과잉반응)
5. 적절한 눈맞춤을 주고 받기
⦁ 마주 보고 앉아 장난감을 주고 받으면서 적절한 눈맞춤을 하는지 본다.
- ( ) 눈을 맞추지 않는다.
- ( ) 적절하게 눈을 맞춘다.
6. 시각적 자극에 반응하기 (응시하기, 손을 뻗기, 잡기) (준비물: 위와 같음)
- 아동의 앞에 눈에 띄는 장난감을 놓고 반응을 본다.
- ( ) 무관심하다.
- ( ) 검사자와 같이 보고 함께 주의를 기울인다.
- ( ) 물체를 잡는다.
- ( ) 기타
<사물의 개념>
7. 사물의 영속성을 이해하기 (준비물: 좋아하는 과자, 장난감, 컵)
⦁ 컵을 뒤집어 물건을 감추고, 아동의 되찾으려는 능력을 관찰한다.
- ( ) 컵 속에 부분적으로 숨겨진 과자
- ( ) 컵 속에 완전히 가려진 과자
- ( ) 컵 속에 부분적으로 숨겨진 장난감
- ( ) 컵 속에 완전히 가려진 장난감
- ( ) 기타
8. 일상용품의 기능을 이해하기 (준비물: 칫솔, 컵, 크레파스)
⦁ 물건을 하나씩 주고 “어떻게 이를 닦는지 (머리를 빗는지, 물을 마시는지, 그림을 그리지)”를 해보라고 한다.
- ( ) 물건을 하나도 적절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 ( ) 물건 중 몇 가지만 적절하게 사용한다.
- ( ) 물건을 모두 적절하게 사용한다.
- ( ) 기타
<수단-목적 관계>
9. 원하는 물건을 얻기 위해 도구를 사용하기 (준비물: 과자, 장난감, 막대기. 끈, 다른 도구, 보자기)
⦁ 아동이 좋아하는 과자나 장난감을 보자기 위에 놓고 손이 닿지 않게 한다. 아동은 제자리 에서 그 물건을 잡도록 유도한다.
- ( ) 적절한 시도를 하지 않는다.
- ( ) 장난감을 얻기 위해 보자기를 끌어 당긴다.
- 장난감을 끈에 묶어 둔다. 아동에게 물건이 손에 닿지 않게 하고, 끈만 손 가까이에 놓아 둔다.
- ( ) 적절한 시도를 하지 않는다.
- ( ) 끈을 당겨 물건을 얻는다.
10. 어른의 관심 얻기
⦁ 검사자는 아동이 좋아하는 장난감, 물체, 과자로 아동의 관심을 끈다.
⦁ 그 다음 아동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물체를 놓고 다른 일을 한다.
⦁ 아이가 물건을 얻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는지 본다.
- ( )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 ( ) 부적절한 반응을 한다.(울기, 때리기, 소리지르기 등)
- ( ) 관심을 얻으려는 말 또는 소리를 낸다.
- ( ) 관심을 얻기 위해 소리를 내며 몸짓을 한다.
11. 갖고 싶은 물건이나 하고 싶은 행동을 위해 어른을 이용하기
⦁ 검사자는 아동이 좋아하는 과자, 장난감을 투명하고 깨지지 않는 용기에 넣어 아동의 관심을 끈다.
⦁ 용기에 꼭맞는 뚜껑을 덮고나서 아동에게 물건을 준다. 검사자는 아동의 행동을 살핀다.
- ( ) 무시하거나 거부한다.
- ( ) 검사자의 손을 용기 위에 놓는다.
- ( ) 말소리를 내며 몸짓을 한다.
- ( ) 기타
12.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사물 또는 장난감을 조작하기 (준비물: 수도, 스위치, 테엽장난감, 문손잡이)
⦁ 어떻게 수도, 태엽장난감을 사용하는지를 보여주고 반응을 살핀다.
- ( ) 수도 ( ) 스위치 ( ) 태엽장난감 ( ) 문손잡이
<동작모방>
13. 사물을 이용한 동작을 모방하기 (준비물: 상자와 블록, 종, 종이와 크레파스)
⦁ 아동에게 행동을 하나씩 보여주며 “이렇게 해봐”라고 말해 준다.
- ( ) 반응을 하지 않는다.
- ( ) 상자에 블록을 집어 넣는 것을 따라한다.
- ( ) 종을 따라서 친다.
- ( ) 종이 위에 크레파스를 그리는 흉내를 낸다.
- ( ) 블록을 쌓는 것을 따라한다.
14. 몸동작 모방하기
⦁ 행동을 먼저 보여주고 나서 “이렇게 따라해봐”라고 한다.
- ( ) 반응을 하지 않는다.
- ( ) 손을 흔들어 빠이빠이를 따라한다.
- ( ) 입을 두드리는 것을 따라한다.
- ( ) 물건을 손가락으로 가르키는 것을 따라한다.
- ( ) 따라서 박수를 친다.
<짝짓기>
15. 똑같은 물건 짝짓기 (준비물: 컵, 신발, 빗, 숟가락 등을 하나씩)
⦁ 탁자위에 물건 셋을 놓고 그 중 하나와 똑같은 물건을 들고, 똑같은 물건과 짝을 짓는 것을 보여준다.
⦁ 아이가 시행하도록 한다.
- ( ) 컵
- ( ) 신발
- ( ) 빗
- ( ) 숟가락
<거부나 요구 나타내기>
16. 물건에 대한 선호 표현하기
⦁ 검사자는 아동에게 좋아할 만한 물건과 좋아하지 않을 물건을 번갈아 가며 보여주면서 “이거줄까”라고 묻는다.(검사자는 교사나 부모에게 아동이 어떤 물건을 좋아하지 않는지 물어본다.)
- ( )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 ( ) 아동은 좋아하지 않는 물건을 거부한다.
- ( ) 아동은 좋아하는 물건을 요구한다.
17. 말로 제지하는 것을 알아듣기(“안돼”라는 지시에 행동을 멈추기)
⦁ 검사자는 탁자 위에 아동의 시야 내에 좋아할 만한 물건을 쉽게 손이 닿지 않도록 놓는다.
⦁ 아동이 손을 뻗어 물건을 집으려면 검사자는 “아니 안돼”라고 평상시 어조로 말하고 아동의 반응을 관찰한다.
⦁ 아동이 행동을 멈추지 않으면, 검사자는 큰 목소리로 “아니, 안 돼”하고 되풀이한다.
- ( ) 전혀 행동을 멈추지 않는다.
- ( ) 쳐다보지만 행동을 멈추지 않는다.
- ( ) 큰 목소리에 행동을 멈춘다.
- ( ) 기타
<이해와 몸짓으로 전달하기>
18. 인사하기
⦁ 검사자는 아동을 만날 때 “안녕”하고 말하며 머리를 숙여 인사한다.
⦁ 교사/부모는 아동이 갈 때 “잘가라”하고 말하며 손을 흔든다. 검사자는 아동이 말은 않지만 만날 때와 헤어질 때 인사하는지를 본다.
- ( ) 적절한 반응을 하지 않는다.
- ( ) 아동은 두 번 중에 한번만 반응한다.
- ( ) 아동은 검사자와 꼭같이 인사한다.
- ( ) 아동이 먼저 인사한다.
19. 몸짓이나 말로 하는 지시에 반응하기
⦁ 검사자는 말과 몸짓으로 지시를 준 다음 아동의 반응을 살핀다.
- ( ) 앉아(걸상을 가르킨다)
- ( ) 일어서 (손을 위로 올린다.)
- ( ) 이리와(손을 몸 쪽으로 올린다.)
- ( ) 주세요(손을 내민다.)
- ( ) 가져와(물건을 가리킨다)
- ( ) 갖다 놓아 (물건을 주고 장소를 가리킨다.)
20. 물건을 이용한 지시에 반응하기 (준비물: 컵, 숟가락, 공, 빗)
⦁ 탁자 위에 물건을 셋 놓고, 몸짓과 더불어 지시를 내리고 아동의 반응을 살핀다.
- ( ) 컵(마시는 것처럼 손을 입에 갖다대면 컵을 집어 입에 댄다.)
- ( ) 숟가락(먹는 것처럼 하면 숟가락을 입에 댄다.)
- ( ) 공(공을 던지는 것처럼 하면 공을 집어 던진다.
- ( ) 빗(머리빗는 것처럼 하면 빗을 집어 머리에 댄다.)
21. 선택한 것을 표시하기 (준비물: 과자, 블럭, 상자)
⦁ 검사자는 아동이 좋아할 물건 하나와 좋아하지 않을 물건들을 탁자 위에 놓는다.
⦁ 검사자는 아동에게 “어떤 것을 가질래?”라고 묻는다.
⦁ 검사자는 물건을 바꿔가며 아동의 반응을 살핀다.
⦁ 아동은 자기가 좋아하는 물건을 가르킨다.
- ( ) 어느 물건에도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다.
- ( ) 자발적인 선택은 하지 않고, 수동적으로 어느 물건이든 받아들인다.
- ( ) 좋아하는 물건을 선택하되 일관성이 없다.
- ( ) 일관성 있게 좋아하는 물건을 선택한다.
- ( ) 기타
22. 행동으로 기본적인 요구를 나타내기 (준비물: 빈 컵(원하는 것 알리기), 장난감)
⦁ 검사자는 아동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한 반응 정도를 관찰한다.
⦁ 물건을 어떤 신호로서 사용해 볼 수도 있다.(가령, 빈컵이나 빈 과자 상자로 목이 마르거나 배가 고프다는 신호는 표시한다.)
⦁ 아동은 태엽 장난감을 작동시키는 걸 도와달라고 할 수도 있다.
- ( )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 ( ) 행동에 소리를 낸다.
- ( ) 행동으로 해달라고 표시한다.
23. 물건이나 행동을 더 원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준비물: 태엽장난감)
⦁ 검사자는 아동이 좋아할 물건을 아동의 시야 내에 손이 닿지 않게 놓는다.
⦁ 물건을 아동에게 주어 관심을 갖게 한 다음, 그 물건을 치운다. 아동이 물건을 다시 원할 때 어떤 물건을 다시 원할 때 어떤 시도를 하는지 살핀다.
⦁ 이 과정을 태엽 장난감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아동이 어떤 시도를 해서 그걸 다시 움직이게 하는지를 살펴본다.
- ( ) 물건을 되찾으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다.
- ( ) 부적절한 반응을 한다(울기, 때리기, 고함지르기)
- ( ) 직접 손을 뻗어 혼자하려고 한다.
- ( ) 물건을 되찾기 위해 도구를 이용한다.
- ( ) 물건을 되찾기 위해 어른을 이용한다.
- ( ) 소리를 내고 물건을 잡으려 한다.
<사회성>
24. 적절하게 신체적 접근을 하고 유지하기
⦁ 검사를 하는 동안에 아동이 적절한 신체적 거리를 유지하는 지 살핀다.
⦁ 검사자는 아동으로부터 떨어져 다른 자리로 가서 놀이를 하며 “이리와 같이 하자”로 손짓을 한다.
- ( )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 ( ) 쳐다보지만 오지 않는다.
- ( ) 적절하게 신체적 거리를 만든다.
⦁ 검사 동안에 아동이 신체적 거리를 유지했는지 살핀다.
- ( ) 전혀 관심을 두지 않는다.
- ( ) 달아나려 한다.
- ( ) 너무 가까이 기댄다.
- ( ) 적절한 거리를 유지한다.
25. 교대하기 (준비물: 차, 공)
⦁ 검사자는 장난감(차, 공)을 보여주고, 그것을 밀거나 굴려서 아동에게 보낸다.
⦁ 아동의 반응을 살피고, 다시 검사제에게 보내라고 신호를 준다.
- ( ) 차를 밀어서 되보낸다.
- ( ) 공을 굴려서 되보낸다.
- ( ) 까꿍놀이를 할 수 있다.
- ( ) “쎄쎄쎄”놀이에 반응을 보인다.(손을 내민다.)
26. 적절한 놀이와 상징 놀이하기 (준비물: 인형, 차, 블럭)
⦁ 특정기능을 가진 장난감과 그렇지 않는 장난감을 준다. 필요시 검사자가 놀이를 시작해주고는 아동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한다.
- ( ) 전혀 놀려고 하지 않는다.
- ( ) 특정기능을 살린 장난감을 적절히 사용한다.
- ( ) 특정기능을 갖지 않은 장난감을 가지고 상징놀이를 보여준다.
27. 언어이전 단계의 의사소통 기능을 관찰하기
⦁ 아래 표시된 항목의 검사를 하는 동안 다음의 기능들을 관찰해 둔다.
⦁+ : 말이 통하지 않는 자발적인 의사 표현을 보인다.
⦁+/E : 자극을 주었을 때 말이 통하지 않는 자발적인 의사소통을 보인다.
⦁R : 부모/교사가 말이 통하지 않는 의사소통을 한다고 인정한다.
⦁- : 하지 못함
Q. 사회성 게임하기란 ?
- 사회성 게임하기란 상호작용을 위해서 아동과 부모가 일상적으로 하는 게임을 의미함. 예로 짝짜궁이 있음
Q. [아동의 행동에서 의사소통 의도가 보일 때 성인은 즉시 반응한다.] <-에서 설명하는 언어이전기의 기능적 언어중재 방법은?
- 선행행동에 대한 연계반응 인식시키기
Q. 언어이전기의 기능적 언어중재에 대한 내용 중 아동이 우연히 낸 소리를 절대 모방해서는 안된다 - X
> 아동이 우연히 낸 소리를 모방할 수 있다. 모방하면 아동이 소리 또는 발성이 성인의 관심을 끈다는 것을 알게 한다.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행동장애 정의와 분류 원인과 출현율 특성 (1) | 2023.06.01 |
---|---|
언어발달장애 기능적 언어치료 접근법 언어기의 언어중재 기본원칙 (2) | 2023.05.31 |
장애유형별 교수지원(청각장애 시각장애 의사소통장애) (0) | 2023.05.31 |
장애유형별 교수전략(발달지체/지적장애/자폐범주성장애/지체장애/정서행동장애) 통합교육 목표 수정 및 구체화 (0) | 2023.05.26 |
의사소통장애의 원인과 특성 및 상담 전략 (0) | 2023.05.26 |